[신병주의역사저널] 1884년 12월 갑신정변의 그날
급진적 개혁 꿈꿨지만 ‘삼일천하’로
1884년 12월4일(음력 10월17일) 우정총국의 개국을 축하하는 낙성식(落成式)이 열렸다. 그러나 이날의 축하연은 곧바로 처참한 살육의 현장으로 변하였다.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이 주도한 갑신정변이 이곳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서울 종로구 조계사 옆에 위치했던 우정총국은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적 우편 업무를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초대 책임자인 총판은 홍영식이었다. 현재 명동 서울중앙우체국 앞에 홍영식 동상이 있는 것은 우정총국 초대 총판이었던 그를 기억하기 위함이다.
개화파들은 일본 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의 후원을 약속받았고, 실제 일본 공사관에서는 150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창덕궁의 서문인 금호문과 경우궁 사이를 경계하면서 개화파를 지원하였다. 청나라 군대 상당수가 조선을 빠져나갔다는 점도 거사일을 정하는 데 고려하였다. 당시 청나라는 베트남에서 프랑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청나라가 조선에 병력을 지원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거사 다음 날 개화파는 왕명을 빙자하여 수구파들을 경우궁으로 오게 했고, 이곳에서 윤태준, 이조연, 한규직, 조영하, 민영목, 민태호 등 수구파 대신, 고종의 수라를 준비하던 내시 유재현 등을 잔인하게 살해하였다. 고종이 죽이지 말라고 하교했지만, 개화파는 이를 듣지 않았다. 이날만은 왕보다도 개화파들의 권력이 위에 있었던 것이다. 고종을 압박하여 개화파들이 발표한 혁신 정강은 김옥균이 쓴 ‘갑신일록’에 모두 14개 조로 기록되어 있는데, 1868년에 단행된 일본의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받은 내용들이 많았다.
정변을 일시적으로 성공시켰던 개화파의 위세는 고종과 명성황후가 경우궁을 벗어나, 창덕궁으로 환궁하면서 급격히 무너지게 된다. 조선의 중요성을 인식한 청나라가 군대를 급히 파견했고, 창덕궁을 포위하면서 개화파 공격에 나섰다. 위안스카이가 지휘하는 청나라 군대가 개입하자, 일본은 개화파 지원에서 한 발 물러섰다. 홍영식과 박영교 등은 현장에서 피살되었고,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은 일본으로 망명했다. 정변이 일시 성공했지만 개화파의 권력은 3일 만에 그쳤기에, 갑신정변은 흔히 ‘삼일천하’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차가운 겨울의 초입에 일어났던 갑신정변은 개화와 근대화라는 좋은 목표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급진적이고 이상적으로 추진하였기에 실패한 정변으로 기억되고 있다.
신병주 건국대 교수·사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사기에 세입자 사망…‘美호화생활’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