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전자 따를 때 나는 소리, 찻잔 속 물결 때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찻잔에 조용히 물을 따르기 위해선 주전자 주둥이를 잔 가까이 두는 것이 아니라 따를 때의 물결을 살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단순히 찻잔에서 끝나지 않고 혈류나 건물 배관을 음파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될 수 있다.
연구팀은 "단순히 주전자를 컵에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 물을 조용히 만드는 데 충분하다는 것은 오해"라며 "표면으로부터 노즐의 거리가 물결 길이의 3분의 1 이상일 때 쏟아지는 소리가 들렸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찻잔에 조용히 물을 따르기 위해선 주전자 주둥이를 잔 가까이 두는 것이 아니라 따를 때의 물결을 살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단순히 찻잔에서 끝나지 않고 혈류나 건물 배관을 음파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될 수 있다.
서울대 기계공학부 연구팀은 용기에 물을 부을 때 발생하는 소리의 진폭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지난달 8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플루이드(Physical Review Fluid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크릴 원통 위에 있는 노즐에서 나오는 물로 용기를 채우고, 그 과정을 외부 고속 카메라와 내부 수중 마이크를 사용해 기록했다. 다양한 크기의 용기와 원통 위의 다양한 높이에 배치된 노즐을 실험한 후 연구원들은 변수를 1~2개 정도 변경했다.
실험 변수를 바꾸더라도 물 따르는 소리를 조용하게 만들 순 없었다. 용기에 물을 따를 때마다 발생하는 공동현상(Cavitation) 때문이다. 공동현상은 액체 내에서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길 때 물속의 기체가 물에서 빠져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공동현상이 액체의 흐름이 고르지 않을 때 두드러지고 거품이 방출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특정 조건에서 공동현상의 소리가 크게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단순히 주전자를 컵에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 물을 조용히 만드는 데 충분하다는 것은 오해”라며 “표면으로부터 노즐의 거리가 물결 길이의 3분의 1 이상일 때 쏟아지는 소리가 들렸다”고 설명했다.
이어”물결의 주름이 가파를수록 소리의 진폭이 증가한다”며 “다만 높이는 노즐의 크기와 모양, 매끄러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나아가 혈류와 건물 배관을 감시하는 기술로 발전될 수 있다. 마이클 버킹엄(Michael Buckingham)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해양학부 교수는 “소리와 유체의 흐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조사가 결국 혈류를 모니터링하거나 듣기만 해도 물과 유체가 배관을 통해 어떻게 이동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지가 미래다]① ‘바다 위 연구소’ 아라온호…특허 5배·논문 3배 늘었다
- ‘결혼 논란’ 신지 “코요태 멤버도 미움받을까 걱정… 댓글·반응 다 본다”
- [Why] 수출 호조 김 제조사, 황금알 낳는 거위 같은데 왜 팔까
- 韓 전력기기, 6년치 일감 확보… 美 변압기 시장 ‘초호황’
- 신규가입 10만원, 에어드랍 3만원… 가상자산거래소 몰리는 ‘앱테크족’
- 한화 김동선의 파이브가이즈, 한국 진출 2년 만에 매각 추진
- 인구 50만 툴루즈, 우주항공 전공 학생만 11만명…“전 세계서 학생 뽑아”
- 전 국민 25만원 지원금에 소득세 매긴다고?… 기재부 “아닙니다”
- 소각 의무화 조짐에 역시나… 상장사들 자사주 매입 급브레이크
- TSMC, 내년 2나노 생산능력 2배 늘린다… 삼성전자는 빅테크 수주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