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포털 통합검색에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CUE:)’ 적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이버는 올 9월 시범출시한 검색특화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큐:(CUE:, 이하 '큐')'를 포털 통합검색에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김광현 네이버 서치 CIC 대표는 "큐:가 검색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에 더 쉽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게 됐다"며 "네이버는 생성형 AI 기술의 장점을 더해 한층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말에 대전에서 열리는 미술전시 있을까?’
네이버는 올 9월 시범출시한 검색특화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큐:(CUE:, 이하 ‘큐’)’를 포털 통합검색에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큐 서비스페이지에 별도로 접속하던 불편을 덜고 네이버 포털 검색창에서도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는 설명이다.
현재 큐는 PC버전으로만 제공되고 있으며, 모바일까지 서비스 정식 출시는 내년 이뤄질 예정이다. 이 때문에 서비스 정식 출시 전까지 큐를 이용하려면 네이버 첫 페이지의 오른쪽 부분을 클릭해 등록·승인 과정을 거쳐야 이용할 수 있다.
큐의 특징은 네이버 검색창에 복잡하고 긴 질의를 대화하듯 입력해도 AI가 원하는 결과를 요약해서 답변해주고 맞춤형 서비스까지 연결해주는 데 있다.
구체적인 의도를 가진 대화형 질의에 지식베이스 등을 통해 구축한 정보로 최신 답변을 제공하고, 쇼핑과 예약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도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한 예로 ‘크리스마스에 예약할 수 있고 주차되는 성수동 맛집을 찾아줘’라고 질의하면 네이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맞도록 네이버 정보와 예약시스템을 동시에 보여준다.
별도의 추가검색 없이 한번에 행동으로까지 연결되도록 편의를 높였다.
또한 네이버는 검색어 일부만 입력해도 입력한 문자가 포함된 다양한 검색어를 추천하는 ‘검색어 자동 완성 서비스’를 큐에도 적용, 자동완성 영역 아랫부분에 큐 추천 질의가 최대 3개까지 노출되도록 11월30일부터 서비스를 개편했다.
김광현 네이버 서치 CIC 대표는 “큐:가 검색에 적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에 더 쉽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게 됐다”며 “네이버는 생성형 AI 기술의 장점을 더해 한층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