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日호주, 北 정찰위성 발사에 첫 공동 제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미국 일본과 호주가 유엔 안전보장위원회 결의를 위반한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 공동 대북제재에 나섰다.
4개국 사전 공조로 동시 대북제재를 가한 것은 처음이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군 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21일 북한의 불법 발사는 여러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해 세계 안보를 훼손했다"며 "특히 대한민국 일본 호주가 처음으로 각각 대북 제재 대상을 지정해 발표했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북한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수익 창출 활동과 관련한 북한인 8명과 기관 1곳을 제재 명단에 올렸다”고 밝혔다. 대상은 북 정찰총국 산하 해킹조직 김수키 및 이란에 무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진 북 청송연합의 테헤란 주재원 강경일 리성일, 중국 베이징 주재원 강평국 등 8명이다.
올 6월 김수키를 제재 대상에 올린 정부는 리철주 북한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부국장 등 5명과 탄도미사일 연구개발에 관여한 6명을 제재한다고 1일 밝혔다. 일본 정부도 이날 김수키를 비롯한 기관 4곳, 개인 5명을 독자 제재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군 정찰위성으로 추정되는 21일 북한의 불법 발사는 여러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해 세계 안보를 훼손했다”며 “특히 대한민국 일본 호주가 처음으로 각각 대북 제재 대상을 지정해 발표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지난달 27일 긴급회의를 열었지만 상임이사국 중국 러시아 반대로 신규 대북제재는 물론 의장성명도 채택하지 못했다.
한미일은 8∼9일 서울에서 조태용 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이 참석하는 안보실장 회의를 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딸 김주애가 올 8월 27일 해군 시설 참관 이후 96일 만에 동행한 모습도 매체를 통해 공개됐다. 김 위원장 모녀는 비슷한 가죽코트에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시위 비행(곡예 비행)을 참관했다. 이날 저녁 경축 연회장에 참석한 김주애의 식탁 주변 3개 식탁은 거의 여성 간부로 채워졌다. “김 위원장이 ‘여성도 차기 군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고도예 기자 yea@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 그만 나오고 집에 가라” 임재범 돌발 발언, 왜?
- “독방서 노란 명찰 달고…” 전청조, 언론사에 옥중편지-면회요청도
- “불이야!” 목터져라 외친 중학생…이웃 56명 구했다 [따만사]
- 野, 손준성·이정섭 검사 탄핵안 단독처리…헌정사 두번째
- 與 인재영입위 “다음주 인재 5명 공개…쪽지 영입 없어”
- “주차하려다 급발진했다”…안경점으로 돌진한 80대 운전자
- 수리비 1400억…‘독수리와 충돌’ 스텔스전투기 결국 퇴역
- 이동관 “사임은 정치 꼼수 아냐…巨野 횡포 심판내려야”
- ‘돈봉투 의혹’ 송영길, 8일 檢 출석…수사 8개월만
- 턱끈펭귄, 4초씩 하루 1만번 꾸벅꾸벅…쪽잠 자는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