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충돌 F-35A 전투기 수리비용, "배보다 배꼽이 더 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초 '조류 충돌'로 비상착륙한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의 수리비용이 새 전투기 구입 비용을 초과해 결국 도태시키기로 했다.
당초 군은 수리여부를 검토한 결과, 수리복구 비용이 신규 항공기 획득 비용보다 높게 산출된 점과 복구에 4년 이상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복구 후에도 비행 안전성 검증이 제한된다는 점 등을 고려해 도태가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고 당시 '동체착륙' 성공했지만 "300여곳 손상"
1일 군 당국에 따르면, 수리비용은 약 1400억원으로, 새 기체 구입비용은 이보다 약 300억원 저렴한 1100억원에 들 것으로 추산됐다. 고치는 비용보다 새로 구입하는 비용이 싼 셈이다.
공군은 지난달 30일 열린 장비도태 심의위원회를 통해 이같이 의결했다. 앞으로 남은 절차는 합동참모본부 심의와 국방부 승인을 거쳐 최종 도태가 결정된다.
다만 공군은 도태 항공기의 추후 활용계획에 관해선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정비사 훈련장비 활용을 포함해 여러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당초 군은 수리여부를 검토한 결과, 수리복구 비용이 신규 항공기 획득 비용보다 높게 산출된 점과 복구에 4년 이상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복구 후에도 비행 안전성 검증이 제한된다는 점 등을 고려해 도태가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해당 기체는 비상착륙 직후 외관상 손상은 크지 않게 보였으나 정밀조사 결과 기체와 기골, 엔진, 조종·항법계통 등 다수 부위에서 300곳에 달하는 손상이 확인됐다.
앞서 해당 전투기는 지난해 1월 공대지 사격임무를 위해 청주기지를 이륙한 뒤 사격장 진입을 위해 약 330m 고도로 비행하던 중 독수리가 좌측 공기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는 사고가 났다.
충돌한 독수리는 F-35A 기체 격벽을 뚫고 무장 적재실 내부까지 들어갔던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이 전투기는 조종간과 엔진을 제외한 대부분의 장치가 오류를 일으켰고, 특히 랜딩기어(착륙장치)도 3개 모두 정상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조종사는 지상과의 교신에서 '비상착륙'을 선포하고 연료를 모두 소진한 뒤 서산기지 활주로에 기체 동체를 지면에 직접 대어 착륙시키는 '동체착륙'을 시도해 성공했다. F-35 기종 전투기의 동체착륙 성공은 당시 첫 사례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정희 "서세원과 이혼 후 불순한 男 접근 많았다"
- "남편은 업무관계라더니…'과장님 내 남자해요" 女직원 문자에 화납니다"
- [단독]'아파트 흡연장 이웃 살인' 28세 최성우에 무기징역 구형
- "전부 교복 셔츠 벗어" 여학생 80명 그대로 집 보낸 교장에 印 '발칵'
- 정경심 "남편 면회갔더니 '영치금으로 커피 대접' 부탁…11일 조국다방 연다"
- 최민환 “율희와 이혼 사유? 가출만 20번에 하루 18시간씩 자서”
- "진심으로 사과" 업소녀와 불륜 日 야구선수…걸그룹 출신 아내는 용서
- "네 뱃속 아이 아빠는 내 남친이야" 남편 소개한 친언니 [헤어질결심]
- 송혜교 "여자로서 배우로서 힘든 일 겪었지만…"
- "궁디 팡팡 해주세요♥" 두 번이나 바람 난 아내…남편 '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