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고 품격 있는 국어를 사용해야 건강한 국어 문화 조성” [우리말 화수분]

이강은 2023. 11. 30. 23: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3> 국어문화원연합회 김덕호 회장 인터뷰
국어는 한민족 제일의 문화유산이며 문화 창조의 원동력입니다.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밀려드는 외국어와 국적불명의 신조어, 줄임말 등에 국어가 치이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 누구나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쉬운 우리말을 써야 할 정부와 지자체, 언론 등 공공(성)기관에서 사용하는 ‘공공언어’의 그늘도 짙습니다. 세계일보는 문화체육관광부·㈔국어문화원연합회와 함께 공공분야와 일상생활에서 쉬운 우리말을 되살리고 언어사용 문화를 개선하자는 취지로 ‘우리말 화수분’ 연재를 시작합니다. 보물 같은 우리말이 마르지 않고 끊임없이 생명력을 지니도록 찾아 쓰자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편집자주>
 
“‘국어 문화’라는 건 남들이 지켜주는 게 아니고 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지켜야 됩니다. 우리 국민 모두가 바르고 품격 있는 국어를 사용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우리말을 사용하면 건강한 국어 문화가 조성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공기관 등 우리 사회에서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힘써 온 (사)국어문화원연합회 김덕호 회장(경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은 30일 세계일보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하면서 “정부도 국민들이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많이 사용하고, 윤택한 소통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덕호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국어문화원연합회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사단법인인 국어문화원연합회는 전국에 있는 국어문화원과 정부의 국어정책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공공분야 외국어 순화 사업’, ‘외국어 대체어 새말 마련 사업’, ‘매체와 함께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 ‘공무원과 공공기관 지원 대상 쉬운 우리말 쓰기 교육 사업’, ‘학술용어 정비 사업’ 등 공공언어 개선 사업도 맡고 있다.
국어기본법에 따라 2005년 11곳으로 문을 연 국어문화원은 현재 서울 4곳, 경기 2곳 등 전국 광역시·도에 22곳이 있다. 주로 대학 내 자리한 국어문화원은 원장과 함께 석·박사급 상근 연구원 3명을 둔다. 이들은 해당 지역민의 올바른 국어문화 생활을 돕고,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이 공공언어로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교육·상담·연구·정책과제 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김 회장은 우리 사회의 언어 문화와 관련한 가장 시급한 문제로 세대별 문해력 차이에 따른 소통 단절을 꼽았다. “청년들이 쓰는 말을 나인 든 세대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사흘’이나 ‘심심한 사과’의 의미를 제대로 모르는 젊은 세대도 있잖아요. 이렇게 세대별로 문해력 차이가 크다보니 근본적으로 소통이 잘 안 되고 서로 불통이 되는 상황입니다.”

그는 “각 지역 국어문화원이 이런 문해력 차이를 좁히는 고리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면서 관련 교육·연구 사업을 해왔다”며 “정부가 국어문화원의 그런 기반을 활용해 국민의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으면 한다. 그래야 ‘불통 사회’에서 ‘소통 사회’로 나아갈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불특정 다수의 국민을 상대로 전달하는 정책 내용 등 공공언어의 경우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을 쓰는 문화가 뿌리내려야 한다고 했다. “예컨대 정부에서 어떤 좋은 정책을 내도 국민들이 이해하지 못하면 정책 호응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정책 내용을 이해하기 쉬운 말로 풀어서 전달하면 국민들도 빨리 알 수 있고, 해당 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겁니다. 공공언어를 쉬운 말(자국어)로 쓰자는 운동은 지금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어요.”

김 회장은 국민과의 소통을 어렵게 하는 공공언어가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뀌어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공적 가치를 높일 경우 연간 3375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덕호 국어문화원연합회 회장. 국어문화원연합회 제공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기 위한 제도적 틀은 어떨까. 공공언어를 중심으로 우리말을 쉽고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2005년 시행된 국어기본법과 국어 정책 등 틀 자체는 괜찮다고 김 회장은 전했다. 다만, 그런 제도와 정책이 공공기관 등 사회 전반에 제대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여건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국어문화원만 해도 1곳당 연간 운영 예산이 2000만∼2500만원 수준이다. 석·박사급 상근 연구원 한 명의 인건비도 감당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국어문화원장은 보수 자체가 없는 데다 인건비 등 운영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외부에서 맡긴 연구사업을 가능한 많이 따내도록 신경써야 한다. 사실상 무보수 봉사직인 국어문화원장을 선뜻 하겠다는 사람이 없는 이유다. 2016년부터 경북대 국어문화원장을 맡은 김 회장이 지금까지 후임자를 구하지 못한 채 자리를 지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 회장은 “문체부에서도 국어문화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많이 고민하고 도움을 주려하고 있지만 예산이 여유가 없다보니 한계가 있는 것 같다”면서도 국어문화원 역할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직원들에게 합당한 처우를 해주는 등 어느 정도 인력·예산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했다. 


이강은 선임기자 kele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