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서울의 봄’의 참군인들
군부는 한국 현대사의 주요 ‘행위자’였다. 박정희·전두환·노태우가 1960~1980년대 권력을 쥐었다. 분단·전쟁을 거쳐 국민국가의 틀이 잡힌 대한민국에서 군이 정치에 노출되는 것은 불가피했지만, 그 때문에 민주주의 역사가 굴절된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전두환은 ‘정치군인’의 표상이었다. 박정희가 1961년 5월16일 군사반란을 일으키자 서울대 ROTC 교관이던 전두환이 육사 생도를 이끌고 서울 도심에서 지지시위를 벌인 건 알려진 일화다. 전두환은 중앙정보부 인사과장, 청와대 경호실 작전차장보, 보안사령관 등 박정희 시대 권력 핵심부와 군내 요직을 벗어나지 않았다. 전두환이 만든 사조직 ‘하나회’는 공조직을 무력화시켰다.
전두환 신군부가 박정희 사후 권력을 찬탈한 ‘12·12 군사반란’은 전두환의 보안사가 군통신을 장악했고, 하나회가 수도권 각급 부대 요직에 포진해 성공할 수 있었다. 하나회 군인들은 전두환 쪽에 납치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구출하라는 군령을 어겼다. 정치군인들이 군령보다 사조직 명령을 따름으로써 ‘서울의 봄’이 짓밟혔다.
후일 단죄됐으나 ‘성공한 쿠데타’로 불린 탓에, 반란세력에 대적한 참군인들의 존재는 한동안 묻혀 있었다.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 정병주 특전사령관, 김진기 헌병감은 반란군을 진압하려 동분서주했으나 휘하 주력부대들이 반란군에 가담해 저항은 꺾이고 만다. 정병주 사령관 비서실장 김오랑 소령은 총부리를 거꾸로 든 동료들에게 맞서다가 최후를 맞는다.
개봉 일주일 만에 관객 236만명을 모은 영화 <서울의 봄>은 정치군인과 참군인을 대비시킨다. 군사정권하에서도 참군인이 있었다는 귀한 사실을 일깨운 것이 영화의 미덕이다.
지금도 참군인은 존재한다. 해병대 채모 상병 죽음의 진상을 밝히려다 항명죄로 기소된 박정훈 대령이 참군인이다. 그런 박 대령이 맡은 군사경찰 병과장직을 해병대가 지난 28일 박탈했다. 군사정권도 아닌데 참군인의 수난은 그치지 않는 현실에 분노한다. 영화 엔딩의 군가 ‘전선을 간다’를 들으며 김오랑 소령의 최후를 떠올린 관객이 적지 않다고 한다. “전우여 들리는가 그 성난 목소리/ 전우여 보이는가 한맺힌 눈동자.”
서의동 논설실장 phil2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군 대령, ‘딸뻘’ 소위 강간미수···“유혹당했다” 2차 가해
- 윤 대통령 공천 개입 의혹, 처벌 가능한가?
- [스경X이슈] ‘흑백요리사’ 출연진, 연이은 사생활 폭로…빚투→여성편력까지
- 윤 “김영선 해줘라”…다른 통화선 명태균 “지 마누라가 ‘오빠, 대통령 자격 있어?’ 그러는
- [단독]“가장 경쟁력 있었다”는 김영선···공관위 관계자 “이런 사람들 의원 되나 생각”
- [단독] ‘응급실 뺑뺑이’ 당한 유족, 정부엔 ‘전화 뺑뺑이’ 당했다
- 윤 대통령 “김영선이 좀 해줘라 그랬다” 공천개입 정황 육성…노무현 땐 탄핵소추
- [단독] 윤 대통령 “공관위서 들고 와” 멘트에 윤상현 “나는 들고 간 적 없다” 부인
- [단독]새마을지도자 자녀 100명 ‘소개팅’에 수천만원 예산 편성한 구미시[지자체는 중매 중]
- “선수들 생각, 다르지 않았다”···안세영 손 100% 들어준 문체부, 협회엔 김택규 회장 해임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