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산·소’ 교수들은 밤샘 수술 다반사… 강의에 연구 압박까지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수 숫자가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이나 약학대학에 비해 적은 것은 아니다. 다만 의대 교수는 환자 진료와 학생 교육을 함께 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국내 의대 교수들은 밀려드는 환자를 진료하고 수술을 하며, 동시에 전공 과목 강의와 의대생 수련도 담당한다. 전문 분야 학회 활동을 하고 연구 성과도 내야 한다. 반면, 미국에서는 교육과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교수와 임상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교수가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의대 교수 중 사람 생명과 직결된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분야 교수들은 특히 밤샘 수술과 당직 근무의 고충을 호소한다. 서울 한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A씨는 3일에 한 번꼴로 당직을 선다. 작년까지만 해도 5일에 한 번 정도였는데, 같이 당직 근무를 하던 전임의(펠로)가 병원을 떠나면서 더 잦아졌다고 한다. 당직을 서지 않는 날에도 담당하던 어린이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안 좋아지면 병원으로 뛰어온다. A씨는 “학생들 가르치고 연구하는 것도 물론 쉽지는 않지만, 나이를 먹다 보니 밤샘 당직이나 응급 수술이 가장 힘들다”라고 했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가 흉부외과 전문의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2020년)에 따르면, 중·대형 종합병원 흉부외과 전문의들은 하루 평균 12.7시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들은 이 외에도 한 달 평균 5.1일을 병원에서 숙직하며 ‘야간 당직’을 서고, 10.8일은 병원 밖에서 ‘온콜(on-call·긴급 대기) 당직’을 선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흉부외과학회는 “이미 한계를 넘어선 살인적인 근무 요건을 견디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해 고려대 의대 의학교육학교실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에서 전국 40개 의대 교수 34.1%가 ‘번 아웃(burnout·극도의 정신적 피로나 무기력)’ 상태로 조사됐다. 의대 교수 3명 중 1명이 번 아웃을 호소한 것이다. 응답자 855명 중 번 아웃으로 극단적 선택까지 생각한 교수도 8%에 달했다.
최근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전공의 지원자가 급감하면서 앞으로 의대 교수들의 근무 상황은 더욱 악화할 전망이다. 과거 전공의가 하던 업무까지 교수가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인천 지역 대학병원의 내과 교수 B씨는 “전날 당직을 선 교수들이 매일 뻘겋게 충혈된 눈으로 나와 외래 진료를 하는 모습을 보고 인턴들이 꺼리는 과(科)가 된다”며 “그렇게 전공의가 줄어들면 교수들의 당직 횟수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제주 금성호 침몰 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
- Interview: “Quality international schools are key to attracting FDI in S. Korea”
- 돈세탁하듯 반도체 돌렸다...화웨이 AI 칩서 나온 TSMC 7나노
- 유재석, “자녀 재산상속은 어떻게?” 질문에 한 대답
- 명태균 “제 위치, 尹대통령이 받아들일 정도 아냐”… 12시간 만에 檢 조사 마쳐
- “소년범이 왜 나와?” 백종원 새 예능, 논란된 이유
- 민사소송법 대가 이시윤 前 감사원장 별세
- “성수 마실래!” 신도들 줄섰던 물…알고보니 ‘에어컨 응축수’
- 제주 금성호 침몰 이틀째 실종자 미발견...선체 뒤집히지 않은 채 안착
- 민노총 집회서 경찰관 폭행... 통제 펜스 밀어내며 과격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