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오피니언리더] 닥터 둠 루비니 "스태그플레이션에 수십조 달러 손실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제전망에서 신중하고 비관적인 입장을 견지해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사진) 미국 뉴욕대 교수가 전 세계적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으로 수십조 달러의 손실이 우려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 직면한 중앙은행들이 여전히 근원인플레이션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션 목표를 역사적 평균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고 루비니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전망에서 신중하고 비관적인 입장을 견지해 '닥터 둠'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사진) 미국 뉴욕대 교수가 전 세계적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으로 수십조 달러의 손실이 우려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경제적 암울한 상황을 '초거대 위협 시대'(megathreatened age)라고 불렀습니다.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해 유명해졌습니다.
27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루비니 교수는 지난해 투자자들이 겪은 침체가 장기 추세가 되면서 주식과 채권시장 모두에 반영될 것이라면서 "이러한 유혈 참사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인 2%가 아닌 평균 5%가 될 것으로 가정하면 장기 채권 수익률이 7.5%는 돼야 실질 수익률이 2.5%가 될 수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국채 수익률이 현재 4.5%에서 7.5%로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30% 폭락하고 주식은 심각한 약세장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으로 채권과 주식 투자자 손실이 향후 10년간 수십조 달러로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할 이유와 관련해 노동력 고령화와 탈세계화에서 전쟁 및 기후 적응 등으로 인한 정부지출 증가까지 수많은 위협을 열거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중앙은행들의 '부채의 덫' 시나리오가 촉발되면서 민간과 정부 모두에서 부채가 급증해 상황이 더욱 악화하고,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시도는 경기침체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 직면한 중앙은행들이 여전히 근원인플레이션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인플레이션 목표를 역사적 평균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고 루비니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다른 분석가들도 부채비율을 낮추지 않는 한 공공 차입과 지출 증가가 결국 채무불이행(디폴트)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루비니 교수는 이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명목 부채를 낮추는 노력의 일환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용인하게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이규화기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축구협회 "황의조 수사 결과 나올 때까지 국가대표 선발 안한다"
- "이제 됐다, 내 남편·아들 돌려달라"…러 엄마들 `분노의 시위`
- "내 마음 산산조각" 스위프트, 콘서트 중 숨진 팬 유족 만났다
- 영국서 돼지인플루엔자 인체감염…"환자, 돼지 근처 가지 않은 사람"
- 만취한 20대 알바女 모텔 데려가 성폭행한 50대男…법정구속
- 중기부, 혁신적 R&D 도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 신규과제 19개 선정
- ‘HBM 날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영업이익 또 제쳐
- 집토끼 잡으러 가는 민주당, 호남 경선 시작
- 국민 97% 가톨릭신자 동티모르, 1주일간 거국적 애도
- 기대수명 증가에 씀씀이 줄였다… "노후 걱정에 돈 안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