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서베이] '퇴사 충동' 최고조에 이르는 연차 물어보니…

최아름 기자 2023. 11. 28. 08: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베이➊ 회사 떠나고 싶은 이유
서베이➋ 구직자의 진심
[사진 | 뉴시스, 자료 | 인크루트, 참고 | 응답률 상위 3개순]

가슴속에 사직서를 품고 사는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 HR테크 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963명에게 퇴사 계획을 묻자, 구체적인 퇴사 계획을 가진 이들은 27.6%, 구체적이진 않지만 퇴사 계획을 갖고 있는 이들은 53.8%로 나타났다. 구체적이든 그렇지 않든 퇴사 계획을 세운 직장인이 10명 중 8명(81.4%)에 달한다는 거다. 퇴사 계획이 없다는 응답자는 15.0%, 정년까지 계속 다니겠다는 응답자는 3.6%에 그쳤다.

직장인이 퇴사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는 이직 후 연봉 인상(25.6%) 때문이었고, 회사의 미래가 보이지 않아서(22.7%)란 답변도 많았다. 반대로 퇴사 계획이 없는 이유를 묻자 워라밸 실천이 가능한 업무량(26.8%)이란 답변이 가장 많았고, 조건 대부분이 평범하다(20.7%)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퇴사를 가장 원하는 연차도 따로 있을까. 전체의 34.6%는 '3년차 직장인'이 퇴사 욕구가 제일 높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다음은 '신입~1년차 직장인(22.9%)' '2년차(18.3%)'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75.8%가 3년차 이하 직장인의 퇴사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생각한 셈이다.

■ 직장 못 구해도… 눈높이가 뭐기에

구직이 쉽지 않은 시기다. 이런 때에 취직을 준비하는 사람들의 마음 가짐은 어떨까. 잡코리아가 올해 신입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 476명에게 구직을 위해 눈높이를 낮출 계획이 있느냐고 묻자, 10명 중 6명(62.2%)이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37.8%는 올해 취직이 안 돼도 눈높이를 낮출 생각이 없다고 답했다.

2023년이 끝나가는 데도 취직이 안 된 구직자들은 그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대다수의 응답자가 자기 능력 부족(복수응답)이라고 생각했다. '직무 분야 관련 아르바이트나 인턴 경험 부족'으로 취직하지 못했다는 응답자는 46.0%였다. 경기가 좋지 않아 취업이 안 된다는 응답자는 27.5%로 그보다 적었다.

올해 안에 취직을 못 한다면 다른 계획은 있을까. 전체의 48.3%는 취업에 성공할 때까지 계속 입사지원서를 내고 구직활동을 하겠다고 말했다. 34.7%는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구직활동을 계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구직활동을 중단하고 자격증이나 어학 점수 등을 취득해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응답자는 10명 중 1명(13.0%) 수준이었다. 창업, 진학 혹은 유학을 고려하겠다는 응답률은 1.7%에 머물렀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