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적 연구는 실패해도 지원… 예타도 면제
투자액 3년간 5.4조로 확대
앞으로 국가 연구 개발(R&D) 사업에서 도전적인 연구 과제에 대해서는 성공·실패를 구분 짓는 평가 등급이 폐지된다.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 확보를 위해 글로벌 R&D 투자 규모는 향후 3년간 5조4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해 나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이런 내용이 담긴 ‘윤석열 정부 R&D 혁신 방안’과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안은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과학기술 최상위 회의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 회의를 통해 심의·확정됐다.
정부는 먼저 연구자들이 혁신적 R&D에 적극 도전할 수 있도록 평가 등급을 폐지하고 컨설팅·동료 평가 등 정성적 검토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혁신적·도전적 R&D는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면제도 적극 적용하기로 했다. 도전적인 R&D에 필요한 최신·고성능 연구 시설·장비 도입 계약 시간을 기존 평균 120일에서 50일로 대폭 단축하고, 연구자에게 돌아가는 기술료 보상 비율을 현행 50%에서 60% 이상으로 상향하는 안도 추진된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출연연)은 그간의 소모적인 과제 수주 경쟁을 벗어나 대형 원천 기술 개발에 몰입할 수 있도록 개편한다. 출연연 핵심 연구자들은 과제 수탁 부담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인건비 100%를 보장하는 방안도 도입한다. 내년도 R&D 예산 삭감으로 논란이 된 학생 연구원 인건비 등 문제에 대해 이종호 과기부 장관은 “예산편성 과정에서 소홀히 했던 부분은 국회 심의에서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며 “인건비뿐 아니고 대학원생 장학금도 늘리는 등 젊은 연구자와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몰입할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 R&D 분야에서는 당초 정부 R&D의 1.6% 수준이었던 투자 금액을 6~7% 수준으로 확대·유지해 향후 3년간 5조 400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미·일 중심 글로벌 R&D 협력 프로젝트를 신설하고, 글로벌 R&D 전략 거점 센터를 해외에 구축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삭하진 않지만 당도 높은 양구 부사, 3kg에 2만원대 초특가 공구
- “소송 걸면 영원히 잠수” 불륜 들킨 남편의 적반하장 [이별전쟁]
- 라방·숏폼·AI 이미지로 파고 든다... 국힘 빅4 ‘MZ 공략’ 혈투
- “일본 방문 때 한국도 가라”고 오바마에 촉구한 지한파
- 목포 갯벌에서 잡는 즉시 포장, 산낙지 한 마리 5760원 특가 공구
- 묵직한 도금 헤드로 안정된 스트로크, 골프 퍼터 15만원대 특가
- 피부 노화 늦추는 화장품 발명한 카이스트 박사 “겨우 화장품? 과학입니다”
- What’s New on Netflix: Highlights of 4th week of April
- 골프 꿈나무와 프로가 만났다… 장대비도 못 막은 ‘꿈의 라운드’
- 시진핑 ‘반미 연대’ 외면한 베트남...“우린 미국과 독특한 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