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DMZ 내 감시초소 복구·중화기 배치… 도발 대비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군이 2018년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파괴한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에 병력과 고사총 등 중화기를 다시 투입하고 감시소를 설치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군이 5년 전 철수한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한 건 9·19 합의를 사실상 파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북한은 9·19 합의 이후에도 수시로 포문을 개방하고 지난해 말엔 무인기를 서울에까지 보내는 등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긴장 고조로 군사 주도권 강화 속셈
우리 군 GP 재가동 등 상응 조치를
북한군이 5년 전 철수한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한 건 9·19 합의를 사실상 파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9·19 합의 파기 책임을 남측에 떠넘기면서 최전방 지역의 긴장감을 고조시켜 군사적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속셈으로 보인다.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우리 정부가 지난 22일 9·19 합의의 일부 효력을 정지하자 북한은 이튿날 9·19 합의를 사실상 파기하겠다고 선언했다. 북한은 2018년 9·19 합의 이후 같은 해 11월20일 비무장지대 내 GP 11곳 중 10곳을 파괴했다. 남측도 합의에 따라 10개 GP를 파괴했다. 남측과 북측은 GP 1개씩은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재무장 조치 가능성도 주시하고 있다.
북한군 해안포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군의 다른 관계자는 “해안포 개방이 기존에는 평균 1개소에 2문 정도였는데, 지금은 많이 늘었다”고 밝혔다. 북한 국방성이 9·19 합의에 따라 지상·해상·공중에서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회복한다고 밝힌 데 따른 움직임으로 보인다. 북한은 9·19 합의 이후에도 수시로 포문을 개방하고 지난해 말엔 무인기를 서울에까지 보내는 등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제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하고 9·19 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만큼 도발 수위와 범위를 끌어올리고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언제 천안함·연평도식의 도발을 자행할지 모른다.
중요한 건 우리의 대응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신원식 국방부 장관 등으로부터 9·19 합의 일부 효력정지 이후 상황을 보고받은 뒤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 대비 태세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시사한 것처럼 우리 군의 GP 복원 등 상응 조치를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북한의 군사 도발을 감시하고 억제할 수 있는 철저한 대응 태세가 요구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