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기업 탓만 하는 정부 물가정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도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만난 식품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억울함을 토로했다.
'물가 잡기'에 나선 정부는 연일 식품 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슈링크플레이션이나 스킴플레이션·번들플레이션 등은 정부가 가격 인상을 억제하자 일종의 이윤을 남기기 위해 마지못해 선택하는 전략이라고 항변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만난 식품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억울함을 토로했다. 그도 그럴 것이 하루가 멀다 하고 원부자재 가격이 비싸지는 데다 인건비·전기요금 등 기타 비용까지 오르고 있지만 정작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가 잡기’에 나선 정부는 연일 식품 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기업들은 내년 실적을 생각하면 연내에 가격을 인상해야 하지만 정부가 앞장서 가격 동결을 요구하다 보니 제품의 양을 줄이는 우회적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정부가 ‘슈링크플레이션’을 잡겠다고 직접 나서며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업계에서는 슈링크플레이션이나 스킴플레이션·번들플레이션 등은 정부가 가격 인상을 억제하자 일종의 이윤을 남기기 위해 마지못해 선택하는 전략이라고 항변한다. 그러나 정부는 이 같은 방법이 꼼수·편법인 데다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며 실태 조사를 벌이고 있다. 숨은 가격 인상을 자제하도록 유도하며 물가 잡기에 나서겠다는 게 주된 목표다. 특히 3분기에 식품 업계가 호실적을 거두자 정부의 압박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자유 시장경제 체제에서 정부의 통제는 물가의 유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행위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원가가 오르는데도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을 경우 결국 나중에 더 큰 폭의 가격 인상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과거 이명박 정부 시절 ‘MB물가지수’를 도입해 52개 품목에 대해 가격을 통제했지만 정책 시행 3년 만에 물가지수는 20% 넘게 오르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12%)을 훌쩍 뛰어넘었다.
정부는 가격통제 대신 업계에 자율성을 허용하고 책임을 부여하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감시 활동 대신 제품 용량 표기를 소비자에게 고지하거나 의무화해 선택권을 부여하는 등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나친 통제는 결국 부작용을 낳을 수밖에 없다.
박시진 기자 see1205@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선생님에게 대든 여고생입니다'…'당사자'라며 SNS에 올라온 해명글, 무슨 말 담겼나
- '영화 속 황정민 보고 '화병'날 뻔'…'스트레스 챌린지'까지 나온 화제의 '그 영화'
- 기혼 女장교와 속옷 차림으로 '불륜' 발각…男장교, 징계 불복 소송냈지만 결국
- 애들 데리고 횟집서 술마시다…옆테이블 남성들과 싸운 엄마들, 가게 주인 협박까지
- 배달 가던 라이더에 골프채 '풀스윙'…유유히 걸어가는 학생 왜
- '괴롭힘 사실무근' 꽈추형 '이 의혹'만 일부 인정했다
- 日 후지산 폭발하면 '대재앙'…'도쿄돔 390개 분량 화산재, 2670만명 피난'
- “하이볼도 비싸서 못 먹겠네”…2배 이상 오르는 日 위스키
- '나도 너 되게 좋다'던 이선균…女실장은 '1등 남친' 주위에 과시
- 한국서 지하철만 45시간 탄 관광객? '원정 소매치기 일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