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홍콩ELS 수조 원 손실”… 판매 전 위험성 과연 제대로 설명했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홍콩H지수를 토대로 발행된 주가연계증권(ELS)에서 원금 손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금융당국이 실태조사에 나섰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달 새 만기가 돌아온 ELS 상품들은 45%가 넘는 원금 손실이 확정됐다.
내년 상반기엔 5대 은행에서만 8조4000억 원 규모의 ELS 만기가 도래하는데, H지수가 반등하지 않으면 3조 원 넘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LS는 통상 3년인 만기 때까지 기초자산이 되는 주가지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한 이자와 원금을 주는 상품이다.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 판매 잔액은 20조 원가량이다. 증권사 간판상품이지만 H지수가 폭락하지 않으면 ‘예금금리+α’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은행들이 신탁과 펀드 형태로 대거 ELS를 팔았다.
그런데 2021년 초 12,000을 넘었던 H지수가 중국발 쇼크로 줄곧 하락해 최근 6,000대 초반으로 반 토막 났다. 이에 따라 최근 몇 달 새 만기가 돌아온 ELS 상품들은 45%가 넘는 원금 손실이 확정됐다. 내년 상반기엔 5대 은행에서만 8조4000억 원 규모의 ELS 만기가 도래하는데, H지수가 반등하지 않으면 3조 원 넘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후 만기가 되는 상품과 증권사 판매분을 감안하면 손실은 더 불어날 수 있다.
투자의 책임은 일차적으로 투자자 본인이 져야 한다. ELS는 100% 손실까지 각오해야 하는 고위험 상품이다. 예금자보호 장치도 없고 대규모 원금 손실이 발생한 게 어제오늘 일도 아니다. 그렇지만 금융사의 경쟁적인 ELS 판매가 적절했는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벌써부터 “은행에서 원금 손실은 없을 거라고 해서 투자했다”는 소비자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으로 ELS를 팔 때는 판매 과정을 녹취하고 자필 설명 등을 받아야 하지만 이를 지켰다고 금융사가 할 일을 다 한 건 아니다. ELS 투자자 상당수가 고령자인 만큼 상품 구조와 위험을 요식적으로 설명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은행들이 H지수가 하락할 때도 꾸준히 ELS 상품을 팔았다는 점에서 수수료를 챙기려고 시장 상황을 외면했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렵다.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에 이어 또 대규모 원금 손실이 임박하면서 금융권의 신뢰가 흔들리게 됐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원장-1차장, 대통령 순방중에도 파벌싸움… 尹, 귀국즉시 교체
- [정용관 칼럼]한동훈 등판이 혁신은 아니다
- “사우디에 많이 추격, 부산 해볼만” 마지막 하루까지 맨투맨 설득
- 北 5월 발사 정찰위성에 일제 구형 디지털카메라 장착
- 홍콩주가 연계 ELS, 수조원 손실 ‘시한폭탄’
- 中 일정 단축으로 ‘한중일 회견’ 무산… 3국 정상회의 계획 못잡아
- 하품할 때 불편하다면 턱관절장애 의심해 보세요!
- 인요한 “준석이는 도덕이 없어, 부모 잘못”… 이준석 “패드립이 혁신이냐”
- 조기숙 “최고위원이 비주류 색출, 개딸 호응… 민주당 파시스트 행태”
- “전셋집, 취업걱정 없어”…北 사이트에 시 응모해 당선된 60대의 최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