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 행정망 먹통이 장비 불량 탓이라니, 근본 대책 찾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4일 정부 모바일신분증을 안내하는 웹사이트와 앱에 장애가 발생해 많은 국민이 불편을 겪었다.
지난 17일 지방행정전산망 '새올', 22일 온라인 민원 서비스 '정부24시', 23일에는 조달청 전산망 '나라장터'가 차례로 마비됐다.
툭하면 전산망 사고가 발생하는 건 정부 내 정보기술(IT) 컨트롤타워의 부재와 관리 주체 분산, 투자 부족과 인재확보 실패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인재라는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전산망 먹통 원인이 아직도 오리무중이라는 점이다. 정부는 그제서야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 부품 불량 탓이라고 했지만 석연치 않다. 라우터 고장은 전기가 들어오는 전원 콘센트처럼 선을 옮겨 꽂으면 해결할 수 있는 단순 장애인데 일주일의 시간이 걸렸다는 게 납득하기 힘들다. 게다가 노후장비도 아닌데 왜 고장이 났는지 알 수 없다니 답답한 노릇이다. 정부는 그동안 사고원인을 놓고 오락가락하며 국민불신을 키워왔다. 새올 장애가 애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문제라고 했다가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인 ‘L4 스위치’ 이상으로 번복했고 장비교체 후 정상복구를 장담했지만 이마저 공수표에 그쳤다. 정부24시와 나라장터가 마비되자 다량 접속으로 발생한 일시적 과부하 때문이라고 헛다리를 짚었다. 전산망 관리와 운영의 총체적 난맥상이 드러난 것이다.
툭하면 전산망 사고가 발생하는 건 정부 내 정보기술(IT) 컨트롤타워의 부재와 관리 주체 분산, 투자 부족과 인재확보 실패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인재라는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1400여개나 되는 정보시스템의 개발·운영을 부처별로 외부기업에 맡기는데 수많은 업체가 보안, 운영, 관리, 설비 등을 쪼개 맡고 있다. 이러니 신속한 원인을 찾거나 책임 소재를 따지기 어렵다. 이를 감독·관리하는 정부의 IT 인력은 전문성이 떨어져 화를 키운다.
국가 전산망 위기는 국민 불편을 넘어 국가안보까지 위협할 수 있다. 단순 부품고장에도 이 정도인데 북한의 해킹·사이버 테러 같은 위기 때에는 어떤 재난이 발생할지 가늠하기 힘들다. 정부가 10년 만에 공공소프트웨어사업에 대기업 참여를 허용한다는데 뒷북대응이다. 차제에 전산망 업체와 장비선정, 관리·운용 등 시스템 전반을 꼼꼼히 재점검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민간전문기업과 학계의 도움을 받아 어떤 국가 비상사태에도 흔들리지 않는 전산망을 구축하기 바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