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초 뉴스]버섯으로 가방을 만든다?...비건 가죽시장 주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촌진흥청이 버섯을 활용한 가죽 개발에 성공했다.
말캉한 버섯으로 만들었지만 내구성 시험에서 권장 기준치를 웃돌아, 식재료뿐만 아니라 가죽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3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민관 협업을 통해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가죽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물가죽보다 탄소배출량 90% 적어
농촌진흥청이 버섯을 활용한 가죽 개발에 성공했다. 말캉한 버섯으로 만들었지만 내구성 시험에서 권장 기준치를 웃돌아, 식재료뿐만 아니라 가죽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3일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이 민관 협업을 통해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가죽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이번 기술의 특허등록을 마쳤다면서 농가·산업체와 협력해 완성도를 높여 상품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개발에는 버섯 중에서도 생장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균일하게 자라는 영지버섯의 균사체를 활용했다. 균사체는 버섯의 뿌리에 해당하는 부위로, 실처럼 가느다란 균사가 그물망처럼 얽혀있어 산업용 소재로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농진청은 톱밥 위에 면섬유를 놓고 그 위에 균사체를 배양했다. 어느정도 자란 균사체를 수확해 습윤 등 가공 공정을 거치면 버섯 가죽 원단이 완성된다.
원단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인장절단하중(잡아당겨 절단될 때의 하중)은 권장기준치의 1.7배로 나타났다. 인열하중(섬유를 찢는데 드는 힘)은 권장 기준의 3.5배로 나타났으며, 내마모성(마찰에 견디는 정도)도 기준치인 2만 회보다 높은 3만 회로 확인됐다.
버섯 원단이 주목받는 데에는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도 한몫했다. 일반적으로 동물 가죽을 만드는 공정에는 많은 양의 화학약품 처리가 수반되고, 대부분 습식 공정이라 물 사용량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버섯 가죽 제작엔 화학약품이 전혀 쓰이지 않을뿐더러, 물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이 동물 가죽 제작의 10%를 수준이라고 농친청은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식물섬유질 기반, 일명 ‘비건 가죽’의 세계시장 규모는 2026년 8억6850만 달러(약 1조1327억 원)에 달한다. 이 중 버섯 가죽 비중은 33%로 2억8910만 달러(약 3770억 원)이다.
실제로 최근 비건 가죽 수요가 늘면서 파인애플·사과껍질·커피콩 자루·선인장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비건 가죽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장갑열 버섯과 과장은 “이번 연구는 민관이 협업해 상품 가능성이 높은 버섯 가죽 제조 기술 협력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가죽 외에도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포장재·완충재·건축자재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농가, 관련 업체와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