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층권 북극에 교란...경험해 보지 못한 한파 오는 것" [Y녹취록]

YTN 2023. 11. 24. 14: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진행 : 김대근 앵커

■ 출연 : 김승배 한국자연재난협회 본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오늘 하루 종일 추울까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내일 아침은 영하 6도 정도 예상이 되니까 낮에 해가 뜨면 잠깐 오르겠지만 대개 어제 낮기온이 14~15도 됐거든요. 오늘은 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2~3도밖에. 그러니까 영하 3도에서 낮기온이 영상 2~3도 정도밖에 올라가지 않으니까 그만큼 지금 내려온 공기가 차다는 얘기죠. 햇볕이 데우지 못할 정도로 차다, 이렇게 보입니다.

◇앵커> 이 정도면 한겨울 날씨인 건가요?

◆김승배> 그렇죠. 영하권이니까 전형적인 겨울 날씨죠. 우리나라 겨울 날씨 특징이 당연히 아침에 영하로 떨어지고 12월 25일, 1월 초쯤 가면 아침기온이 영하 15도, 낮기온이 영하 5도. 이런 기간이 사나흘 되거든요. 그때가 가장 그런 극심한 추위가 있어서 낮기온이 영하로 가는 때가 되면 전형적인 강한 추위가 찾아왔을 때입니다.

◇앵커> 요즘에 가을인가, 겨울인가 이게 참 헷갈릴 정도로 날씨가 포근했다가 또 추웠다가 오늘처럼 이렇게 급격하게 추워졌다가 이런 날씨가 막 오락가락하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데 왜 이렇게 갑자기 추워진 걸까요?

◆김승배> 그렇습니다.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를 결정하는 요소가 한반도 주변만이 아니라 우선 넓게 거시경제, 미시경제 하듯이 적어도 겨울 날씨가 어떻게 될 것 같아요,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거시적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북극의 기온이 한겨울이기 때문에 가장 낮은 때거든요. 그런데 우리가 말하는 경향성 그러니까 지구온난화 때문에 추워야 될 북극이 덜 추워졌어요, 과거보다. 그래서 북극과 한국이 있는 중위도 지방과의 온도 차 때문에 늘 봄, 여름, 가을, 겨울 강하게 부는 그런 바람이 있는데 그게 제트기류거든요. 그래서 겨울철이 되면 북극의 찬 공기가 가장 기온이 낮을 때 제트기류가 온도 차가 커지면 커질수록 제트기류가 강해지거든요. 그런데 아까 말씀드렸듯이 북극의 기온이 어떻게 될 것이냐. 그다음에 태평양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될 것이냐. 엘니뇨라는 게 올해 5월부터 시작됐거든요. 또 서쪽으로 인도양의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될 것이냐. 더 서쪽의 대서양의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될 것이냐. 눈이 시베리아에 어떻게 덮여 있느냐, 티베트에 얼마나 덮여 있느냐. 이런 여러 가지 복합적인 거시적인 그런 분석이 필요하거든요. 지금 엘니뇨는 시작이 됐거든요. 지금 현재 평년보다 1.8도가 높습니다. 동태평양의 바닷물의 온도가. 그게 엘니뇨라는 거죠. 그다음에 동인도양의 바닷물 온도는 평년보다 낮아요. 그런데 서인도양, 즉 인도 옆에. 거기는 평년보다 높아요. 또 북대서양의 바닷물의 온도가 평년보다 낮은 반면에 남대서양은 더 높거든요. 이런 바닷물의 온도의 변화. 그다음에 우리가 만주라 불리우는 북쪽에 눈이 많이 와서 많이 덮여 있습니다. 또 티베트 부분에 평년보다 눈이 많이 덮여 있어요. 그런 현상들, 그다음에 유라시아대륙부터 동쪽까지 눈이 얼마나... 이런 게 북극 바다가 거기가 11월이면 10월 때부터 얼음이 얼기 시작해야 되는데 바렌츠해가 바다에 구멍이 생겼어요. 얼음이 얼지 않았어요. 여름에 완전히 녹았고. 그래서 북극 바다의 얼음이 녹는 추세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거든요. 여름에 녹았다, 겨울에 얼었다를 반복하는데 겨울이 따뜻해지니까 그게 안 녹거든요. 그다음에 남쪽의 더운 공기들이 북극으로 몰려서 성층권까지 따뜻한 공기가 확 올라가거든요. 그러면 성층권 돌연 상승이라는, 성층권의 북극에 교란이 생겨서 그런 극소용돌이가 혼란이 생기기 때문에 북극에 갇혀 있어야 될 찬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그게 우연히 동아시아에 딱 걸리게 되면 경험해 보지 못한 한파가 오는 거고요. 다행히 미국, 유럽 쪽으로 가면 그쪽이 추운 거고. 다행히 우리는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뱀이 기어가는 것처럼 서행을 하거든요. 그런데 제트기류가 솟아오르는 쪽, 능쪽에 걸리면 겨울치고 안 추운 겨울이 되거든요.

대담 발췌 : 이미영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