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손가락'에서 '미래 성장동력'으로···현대차 수소사업 다시 뜬다 [biz-플러스]

서민우 기자 2023. 11. 24. 07: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양산형 모델 출시에도
충전 인프라 부족, 비싼 가격 탓에
전기차에 밀려 고전한 수소차 사업
수소생산·연료전지로 투자·협력 확대
차량도 승용·버스·트럭 풀라인업 갖춰
2040년 탄소배출 없는 차량만 판매
"앞으로 수소차 비중 커질 것"
현대자동차는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고속형 대형버스급에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출시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서울경제]

수소차는 현대자동차에게 ‘아픈 손가락’이었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양산형 모델 ‘투산ix’를 내놓을 만큼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부족한 충전인프라와 비싼 차량 가격 탓에 고전을 면치 못했다. 세계 수소차 점유율 1위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분야에서 전기차에 밀려왔던게 사실이다. 수소경제가 이전 정부의 정책 아젠다였던 점도 제약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하지만 최근 전기차가 수요 둔화에 직면하면서 현대차(005380)의 수소차 사업이 반사 효과를 얻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향후 탄소 중립시대를 맞아 친환경차에서 수소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늘어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승용차에서부터 트럭·버스까지 수소전기차 풀 라인업 갖춰
현대자동차가 북미시장 공략을 위해 선보인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트랙터’는 대형 수소전기트럭으로 1회 충전시 주행거리가 720km에 달한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들어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시장에서 보폭을 넓혀나가고 있다. 지난해 연말 그룹 임원인사에서도 수소 사업을 총괄했던 김세훈 수소연료전지개발센터장(부사장)과 임태원 수소연료전지사업부장(부사장)이 모두 물러나면서 그룹 내 ‘수소 라인’ 약화가 두드러졌던 것과 대비되는 움직임이다.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고속형 대형버스급에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출시한데 이어 5월에는 북미 지역에 특화한 대형 수소전기트럭인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를 미국 시장에 공개했다.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는 최고 출력 180kW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최고 출력 335kW, 최대 토크 1,200N·m의 안티 저크 모터를 탑재했다. 48.2kWh의 고출력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최대 635km에 이른다.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트랙터는 장거리 운행이 많은 북미 지역 특성에 맞춰 개발됐다. 총중량 37.2톤급의 6x4(3개 차축 가운데 2개가 구동되는 방식) 대형 트럭이다. 180kW급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최고 출력 350kW급 구동 모터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적재 상태에서 72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이 뿐 아니다. 10월에는 이탈리아 이베코그룹과 현지 시내버스인 이베코버스에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수소전기 시내버스인 ‘E-WAY H2’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로써 현대차는 승용차(넥쏘)에서부터 트럭·버스 등 대형 상용차까지 수소전기차 라인업을 모두 구축하게 됐다.

달라진 현대차 수소 사업 전략···차가 아닌 생태계를 만든다

현대차의 수소 사업 강화는 단순히 차를 만드는 것에만 그치지 않는다. 현대차는 수소생산에서부터 연료전지시스템 개발 등 생태계 전반으로 투자와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수소 사업 대중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넥쏘를 앞세워 수소 사업의 비전을 제시했다면 앞으로는 수소 승용차 뿐만 아니라 상용차와 수소연료전지 등 수소를 활용한 생태계 확대에 방점을 찍은 것이 달라진 점”이라고 말했다.

그룹 계열사들과 협업하는 ‘수소사업 툴박스’가 대표적이다. 수소사업 툴박스는 수소 생산부터 공급 과정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부품 적용, 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물류 시스템 도입, 수소전기차 판매 등을 아우르며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소사업 모델을 뜻한다.

현대자동차가 세계적 명문 대학인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탄소중립 미래 기술을 공동 연구하기로 했다. 김동욱(오른쪽 두번째)현대차 부사장이 22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맨션 하우스에서 마이클 스펜스( 〃 세번째) UCL 총장과 업무 협약을 맺은 뒤 양국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케미 바데노크 영국 기업통상부 장관, 앙가라드 밀렌코비치 UCL 부총장, 나이젤 티체너-후커 UCL 공과대 학장, 김 부사장, 스펜스 총장,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제공=현대차그룹

이런 전략은 현대차가 최근 글로벌 기업들과 맺은 수소사업 업무협약(MOU)에서도 드러난다. 현대차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세계적 명문 대학인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수소생산·연료전지·전동화 분야 공동연구 MOU을 체결했다. 현대차와 UCL은 해당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UCL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함께 연구하기로 했다. 특히 고난도의 소재·원천·기초 산업기술에 대한 연구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1일엔 싱가포르 물류기업 PTCL과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협약'을 맺었다. 양사는 싱가포르에서 수소 생태계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협업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지난 10월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소 모빌리티 환경 조성, 수소전기버스 실증 사업 추진 등을 골자로 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2040년 탄소배출 없는 차량만 판매···수소차 비중 커질 것
현대차는 그룹의 계열사들과 협업해 수소생산부터 공급 과정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부품 적용, 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물류시스템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수소사업 툴박스’를 구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자동차

업계에서는 현대차가 수소 모빌리티 사업에 드라이브를 거는 것을 자연스러운 수순으로 보고 있다.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전기차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서다. 현대차는 2021년 내놓은 ‘2045 탄소중립’에서 2035년 유럽을 시작으로 주요 시장에서 2040년까지 탄소배출이 없는 전동화 차량만 판매하기로 했다. 2045년까지 전세계 사업장의 전력 수요를 모두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예정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소차의 연료는 수소이지만 전기로 차량을 움직인다는 점에선 현대차의 전동화 전략에도 부합된다”고 설명했다.

서민우 기자 ingaghi@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