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문학에서 SF소설까지, 똥의 인문학 [책&생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이들은 똥 이야기를 유난히 좋아하고 재미있어 한다.
이번에 나온 '은유로서의 똥'은 최근 거의 동시에 출간된 '종교와 똥, 뒷간의 미학'(박병기 편, 씨아이알)과 앞서 2021년에 나온 '똥의 인문학'(한만수 편, 역사비평)을 아우른 '똥 3부작'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유로서의 똥
연암에서 퀴어·SF까지, 한국 문학의 분변학
한만수 엮고 지음 l 소명출판 l 3만7000원
아이들은 똥 이야기를 유난히 좋아하고 재미있어 한다. ‘똥’ 말만 나와도 까르르 자지러지는데 혐오감이라곤 없어 보인다. 프로이트의 발달단계 이론이나 아동심리학이 여러 설명을 하지만, 기본적으로 고정관념에서 자유롭기 때문일 테다. 불과 일이백년 전, 그러니까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똥은 지금처럼 쓸모라곤 없이 혐오스럽고 비천하며 신속하게 처리돼 보이지 않아야 할 폐기물 신세가 아니었다. 오랜 세월 모든 문명권에서 똥 비료를 폭넓게 활용했다. 많은 신화에서 똥오줌은 창조와 풍요의 상징이었고, 뒷간신(측신)에 경외감을 갖는 민간신앙도 있었다. 근대 이후 똥의 지위는 어떻게 표현되고 바뀌어왔을까?
‘은유로서의 똥’은 한국의 문학 작품들이 묘사한 똥 담론의 텍스트를 분석해 시대의 컨텍스트(문맥)와 의미를 읽어낸 논문 모음이다. 11명의 인문학자가 조선 후기 박제가·박지원 같은 실학자들의 기록과 서사부터, 이광수의 ‘무명’과 김동인의 ‘태형’ 등 식민지 시기 소설에 투영된 똥과 감옥 서사의 유비성, 정호승·최승호의 시편들에서 발견되는 저급유물론을 분석한다. ‘말하는 입’과 ‘먹는 입’, 그리고 ‘싸는 구멍’의 위계는 ‘똥냄새’와 ‘새 상품의 냄새’의 차이만큼이나 엄연하다. 김현이 시집 ‘글로리홀’ 등에서 퀴어(성 소수자)가 똥이나 항문섹스와 연관지어지며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되는 과정을 분석한 것에 주목한 글도 있다. 2010년 이후 한국문학에서 본격화한 장르인 공상과학(SF) 문학이 인류세 시대의 대안으로 똥의 다양한 재자원화를 상상하는 것도 흥미롭다.
‘밥-똥 순환’이라는 전통적, 생태학적 인식 체계는 근대 과학과 위생 시설의 발달로 순식간에 구시대의 유물이 돼버렸다. 인분이 바이러스와 박테리아가 득실거리는 감염병의 원천임이 밝혀지자 똥 비료는 화학비료로 대체됐다. 수세식 화장실이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똥은 더는 보이지 않(아야 하)는 오물이 됐다. “똥은 밥이면서 위험, 생명이면서 죽음이었다.” 그런 양가성은 문명과 야만, 계급과 신분, 직업의 위계질서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지금껏 한국에서 분변학은 의료·보건이나 자연과학에서 조금씩 다뤘을 뿐, 인문학적 접근은 일천한 편이다. 이번에 나온 ‘은유로서의 똥’은 최근 거의 동시에 출간된 ‘종교와 똥, 뒷간의 미학’(박병기 편, 씨아이알)과 앞서 2021년에 나온 ‘똥의 인문학’(한만수 편, 역사비평)을 아우른 ‘똥 3부작’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조일준 선임기자 ilju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일제가 고개 숙인 1200살 ‘신의 나무’…로터리에서 죽어갔다
- 개각 바람 속에도…‘장수 장관’ 이상민·김현숙의 비결은
- 인요한 혁신위 갈등설까지 나왔다…위원들 한때 ‘사퇴 소동’
- 1만2952개 시리얼 상자 5분 넘게 ‘와르르’…도미노 세계기록
- 49일 만에 포성 멈춘 가자지구, 집으로 향하는 피난민들
- 행정망 마비도 ‘재난’ 포함한다…‘4번 먹통’ 원인 7일째 파악 중
- 무주택 청년 2%대 주담대 추진…집값 높은 서울선 ‘그림의 떡’
- 차가운 바닥에서 신생아 심폐소생술, 12월엔 더 추울 텐데…
- 막말·설화 끊이질 않자…민주 “공천 심사에 반영할 것”
- LG 승진 임원 92%가 70년대생…세대교체·신상필벌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