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많아진 60세 이상 유권자, 정책·공약도 따라줘야
유권자의 비율에 따라 정책이 오락가락해서는 안 된다. 유권자가 줄었다고 해당 세대를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 반면, 국민의 균등한 정책 혜택 제공이라는 측면도 중요하다. 많은 유권자가 집중된 세대는 그만큼 정책 수요가 큰 집단임을 뜻한다. 해당 세대에 대한 집중과 선택으로 정책의 방향이 옮겨가야 함은 당연하다. 그런 유권자 집단의 크기 변화가 이번 총선에 생길 것 같다. 젊은 유권자(18~39세)보다 60세 이상 유권자가 많아진다는 전망이 있다.
10월31일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 결과다. 60세 이상 인구가 약 1천391만명, 젊은 인구가 1천373만명이다. 60세 이상 인구가 18만명가량 많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 당시 연령 분포가 역전됐다. 당시 60세 이상은 1천324만명, 젊은층 인구는 1천417만명이었다. 100만명가량 젊은층이 많았다. 내년 4월 총선은 10월31일 기준으로 5개월 뒤에 치러진다. 급격한 고령화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30만명 이상까지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런 변화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국민의힘 등 보수층에서는 스스로에 유리한 구도라고 분석한다. 전통적으로 60대 이상은 강한 보수 성향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투표율도 다른 세대에 비해 높다. 반면 민주당 등 진보 진영의 분석은 다르다. 젊은층 표심의 높은 진영 충성도를 여전히 자신한다. 여기에 사전 투표 이후 나타나는 높은 투표율도 든든한 버팀목이라고 본다. 정당별로 받아들이는 해석과 해법이 이렇게나 다르다.
이걸 평하거나 분석하지 않겠다. 현 단계에서 의미도 없고 정확하지도 않다. 대신 60대 이상 계층을 위한 정책적 배려의 필요성이 커졌음은 강조해 두려 한다. 너나없이 은퇴·노후·건강에 대한 절박함을 갖고 있는 세대다. 복지 증진에 대한 갈증이 경제활동 세대에 비해 훨씬 크다. 그래서 나온 게 정치권의 정년 연장이나 기초연금 증액 논의다. 각 당이 내놓게 될 맞춤형 정책 공약도 세심히 평가될 것이다. ‘간병비 지원’ 같은 공약 경쟁이 예상된다.
거듭 강조하건대, 젊은층을 위한 정책 지원에 소홀히 하면 안 된다. 미래 한국을 위한 투자이며 국가 생산성 향상의 척도다. 그러면서도 늘어난 노인 인구와 유권자에 비례하는 정책 개발은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가다듬어진 정책과 공약에 60대 이상 표심이 예민하게 반응할 게 틀림 없다. 60대 이상의 삶이 그만큼 고단하고 버겁기 때문이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비상계엄 주도’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구속
- 이재명 "결국 댐 무너져…피 한 방울 안 흘리고 혁명 이룰 것"
- 특전사령관 "윤 대통령, 국회 문 부수고 의원 끄집어내라 지시"
- 검찰 수사 칼끝, 윤 대통령 ‘수괴’ 의혹 겨냥… 한덕수 총리도 소환
- 국회 본회의 2025년 예산 수정안, 내란 관련 결의안 통과 [포토뉴스]
- 김용태 “특검 통한 비상계엄 진상 규명 촉구”
- “한동훈 브루투스 같은 패륜” vs “그 와중에 친윤 원내대표”
- 내란 상설특검법·尹 신속체포 요구안, 국회 본회의 통과
- 국힘 윤상현·배준영 ‘사면초가’…의원실 앞 집회 등 잇따라
- 출산·인천e음 예산 증액 실패…정부·여야 협상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