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효과 센 ‘다이어트 약’ 나오나…배부름 느끼게 하는 뇌 세포 발견

고재원 기자(ko.jaewon@mk.co.kr) 2023. 11. 24. 00: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한국 연구자들이 포만감을 들게 하는 뇌 세포 메커니즘을 찾았다.

연구팀은 섭식장애를 개선하는 실마리가 되는 것은 물론 '위고비'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만치료제들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는 미각이 PRLH 활성화에 관여한다는 증거"라며 "쉽게 말해 첫 한 입을 먹었을 때 혀에서 느껴지는 음식 맛이 뇌세포를 자극하고, 뇌세포는 포만감이라는 신호를 위장에 보내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SCF 연구팀, 네이처에 발표
위고비 등 비만약 개선 기대감
[사진 출처=연합뉴스]
미국과 한국 연구자들이 포만감을 들게 하는 뇌 세포 메커니즘을 찾았다. 연구팀은 섭식장애를 개선하는 실마리가 되는 것은 물론 ‘위고비’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만치료제들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커리 나이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카블리기초신경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23일(현지시간) 혀 미각세포에서 느껴지는 음식의 맛이 뇌간에 있는 뇌세포를 자극해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는 분석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최재원∙장희은 미국 UCSF 하워드휴즈메디컬연구소 연구원 등 한국인 연구자가 대거 포함됐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들은 음식을 섭취하다 특정 시점에 도달하면 포만감을 느끼고 식사를 중단한다. 과학자들은 식사를 중단하는 데 관여하는 뇌 영역과 특정 세포까지 밝혀냈다. 그러나 정확히 이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불분명하다.

연구팀은 비밀을 풀기 위해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쥐의 뇌에 광센서를 이식해 식욕과 관련된 신경세포의 활성화를 살폈다. 특히 포만감을 줘 섭식 행동을 억제하는데 관련된 신경세포인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PRLH)’과 ‘글루카곤(GCG)’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쥐 내장에 먹이를 10분동안 주입한 후 변화를 조사했다. 그랬더니 주입되는 먹이의 양이 늘어나며 PRLH가 활성화됐다. 먹이 주입이 끝난 몇 분 후에는 활성화가 최고조에 이르렀다.

연구팀은 쥐 내장에 식염수를 주입했다. 그랬더니 PRLH은 활성화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는 미각이 PRLH 활성화에 관여한다는 증거”라며 “쉽게 말해 첫 한 입을 먹었을 때 혀에서 느껴지는 음식 맛이 뇌세포를 자극하고, 뇌세포는 포만감이라는 신호를 위장에 보내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GCG는 장 신호에 의해 활성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쥐가 식사를 시작하면 몇 분 안에 GCG 뉴런이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GCG는 위고비와 같은 비만치료제가 모방한 식욕억제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을 생성하는 신경세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위고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지를 밝혀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