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침체 직격탄 맞는 하위 20% 가구, 정부 방관할 건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계의 명목소득 증가율이 물가상승률을 밑돌아 실질소득이 줄던 흐름이 3분기(7~9월) 들어 5분기 만에 해소됐다.
통계청이 매달 전국 7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집계하는 가계동향조사에서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503만3천원)이 작년 3분기에 견줘 3.4% 늘어나면서, 물가상승분(3.13%)을 빼고도 0.2%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같은 기간 명목소득이 0.7% 줄고, 실질소득은 3.8%나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계의 명목소득 증가율이 물가상승률을 밑돌아 실질소득이 줄던 흐름이 3분기(7~9월) 들어 5분기 만에 해소됐다. 통계청이 매달 전국 7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집계하는 가계동향조사에서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503만3천원)이 작년 3분기에 견줘 3.4% 늘어나면서, 물가상승분(3.13%)을 빼고도 0.2%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같은 기간 명목소득이 0.7% 줄고, 실질소득은 3.8%나 감소했다. 2분위 가구(하위 20~40%)도 명목소득이 0.3%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실질소득이 2.7% 감소했다. 소득 계층 간 명암이 크게 엇갈렸다.
전체 가계의 평균 실질소득 증가는 고소득 가구의 소득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 힘입은 것이다. 4분위 가구(상위 20~40%)는 근로소득이 6.6%, 5분위 가구(상위 20%)는 6.5% 늘어나면서 명목소득이 5.0%, 4.1%씩 늘었다. 모두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돈다. 반면 1분위 가구 근로소득은 9.2%, 2분위 가구는 5.2% 줄고, 사업소득도 12.7%, 4.9%씩 감소해 하위 두 소득 계층의 명목소득은 줄거나 제자리걸음을 했다. 통계청은 3분기에 비가 많이 와서 건설업 등 임시·일용직 종사자의 근로소득이 줄고, 비 피해로 농가의 사업소득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기상 악화와 그로 인한 경기 부진의 타격이 저소득 계층에 집중된 것이다.
저소득 계층은 소득 대비 소비의 비중이 커서, 물가 상승에 대한 부담도 고소득 계층에 비해 훨씬 크다. 1, 2분위 가구는 3분기에 주거·수도·광열비 지출이 크게 늘자, 교육비와 통신비, 가정용품과 가사서비스 지출을 큰 폭으로 줄였다. 이렇게 가계가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는 대응을 하면 민간소비가 부진해 경기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그 빈자리를 메우려면 정부가 저소득층을 지원하거나 직접 정부 지출을 늘려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대규모 세수 결손이 나자 거꾸로 지출을 줄였다. 생각할수록 한숨이 절로 난다.
경기가 바닥을 지나가고 있고, 물가 상승세가 11월부터는 다시 조금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지만 저소득 계층의 실질소득이 곧 플러스로 돌아설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런 가운데 추운 겨울이 오고 있다. 겨울엔 바깥에서 일하는 일용직 일자리가 줄고, 연료비와 의류비 지출은 증가한다. 가계 소득과 지출만 봐도 빤히 볼 수 있는 민생고를 정부가 더는 방관하지 않기를 바란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위안부’ 손배소 이겼다, 이제 일본 정부에 직접 묻는다
- 기초수급자가 내민 1천만원 수표 4장…“저보다 어려운 이에게”
- 윤 대통령의 중국몽, 꿈 깨라는 시진핑
- 윷놀이 졌다고 이웃 살해한 60대, 피해자 생명보험금 타갔다
- 교사 목 조른 학부모 징역 1년…학생들에 “신고 누가 했냐” 학대
- 행정망 사고 수습은 뒷전, 국외출장 떠난 행안부 장관 [사설]
- ‘강아지공장’ 부른 아기동물 소비…6개월 미만 판매금지법 뜬다
- 나를 향한 ‘교제살인’ 두달 전부터 시작됐다…경찰 신고했지만
- 행정 전산망 또 먹통…조달청 ‘나라장터’ 1시간 마비
- ‘원칙과 상식’ 모임 김종민 “국힘 입당, 원칙도 상식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