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만감 느끼는 뇌 회로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한국 연구자들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뇌세포 메커니즘을 찾았다.
연구팀은 섭식장애를 개선하는 실마리가 되고 '위고비'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만치료제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커리 나이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카블리기초신경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23일(현지시간) 혀 미각세포에서 느껴지는 음식의 맛이 뇌간에 있는 뇌세포를 자극해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는 분석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이어트약 약효 강화에 도움
미국과 한국 연구자들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뇌세포 메커니즘을 찾았다. 연구팀은 섭식장애를 개선하는 실마리가 되고 '위고비'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만치료제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커리 나이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카블리기초신경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23일(현지시간) 혀 미각세포에서 느껴지는 음식의 맛이 뇌간에 있는 뇌세포를 자극해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는 분석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최재원·장희은 UCSF 하워드휴스메디컬연구소 연구원 등 한국인 연구자가 대거 포함됐다.
연구팀은 쥐 내장에 먹이를 10분 동안 주입한 후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주입되는 먹이의 양이 늘어나며 '프로락틴 방출 호르몬(PRLH)'이 활성화됐다. 또 쥐 내장에 식염수를 주입한 후 PRLH가 활성화되지 않은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는 미각이 PRLH 활성화에 관여한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글루카곤(GCG)은 장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영상]“보는 순간 두 눈 의심”…우산 쓴 중국女와 산책 나온 동물의 정체 - 매일경제
- “위성사진이 컬러잖아”…김정은이 봤다는 美괌기지 ‘진위논란’, 왜? - 매일경제
- 길거리서 사라진 호떡·붕어빵…이제 여기서 잘 팔리네 - 매일경제
- 한숨 나오는 ‘나의 아저씨’…“결혼 자금 날려” “투자 최대 실수” - 매일경제
- 연기금이 쓸어담는다…이달에만 벌써 72% 급등한 이 종목은 - 매일경제
- 돈 한푼 안들이고 오피스텔 40실 사들인 남매…청년들 상대로 보증금 40억 꿀꺽 - 매일경제
- “2000만원→300만원 꿈이야 생시야”…종부세 지옥에서 탈출했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불패 강남’ 31주 만에 하락…서울 아파트값, 오른 곳은 어딘가보니 - 매일경제
- “한국인들 공공서비스 날로 먹어, 작은 중국”…서울시 공무원의 푸념 - 매일경제
- “고심 끝에 도전 허락 결정” LG, 마무리 투수 고우석 ML 포스팅 허가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