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소리 때문에 집중 못했다"… 수능후 감독관들 '민원지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년 차 교사 A씨는 이번 수능에서 5교시 내내 감독관 업무를 맡았다.
이 일을 알린 박근병 서울교사노동조합 위원장은 "보안을 위해 감독관을 맡은 교사의 익명성을 확실하게 보장해야 한다"며 "현재 교육부에서 만들어 나눠주는 수능 감독관 매뉴얼에는 학부모에게 공격받는 상황에 대한 내용이 따로 없는데, 그런 일이 발생했을 때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신속하게 대응해 법대로 처리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긴장감 심한만큼 민원 줄이어
교사 94%, 어쩔 수 없이 맡아
"수당보다 약값이 더 들 지경"
올 부정행위 적발 학생 부모
학교 찾아가 피케팅 시위도
조희연 "불법행위 엄중 대처"
7년 차 교사 A씨는 이번 수능에서 5교시 내내 감독관 업무를 맡았다. 시간을 꽉 채워서 하다 보니 평균보다 더 많은 20만원을 수당으로 받았지만, 안 받고 안 하고 싶은 게 속마음이었다. 그는 "워낙 신경이 쓰이는 일이다 보니 받는 수당보다 약값이 더 들 지경"이라고 말했다.
매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나면 감독관으로 입회했던 상당수 교사가 후유증을 호소한다. 단순히 긴장되고 고된 경험을 넘어 사후에 '수험장 관리를 잘 못해서 우리 아이가 시험을 망쳤다'고 따지는 학부모에게 협박을 당하는 일도 있다.
지난 21일에는 수능 부정행위로 적발된 수험생 학부모가 감독관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찾아가 피켓 시위를 벌이는 일까지 발생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청 교육감이 23일 이 문제를 공론화했다.
조 교육감은 이날 본인 페이스북에 "감독관의 신원을 개인적으로 확보해 협박하고 학교 앞에서 피케팅을 하는 행위는 매우 잘못된 이의 제기 방법"이라며 "수능 감독 선생님을 위협하는 불법적 행위에 고발 조치를 포함해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이 일을 알린 박근병 서울교사노동조합 위원장은 "보안을 위해 감독관을 맡은 교사의 익명성을 확실하게 보장해야 한다"며 "현재 교육부에서 만들어 나눠주는 수능 감독관 매뉴얼에는 학부모에게 공격받는 상황에 대한 내용이 따로 없는데, 그런 일이 발생했을 때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신속하게 대응해 법대로 처리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교사노조에 이어 실천교육교사모임도 이날 성명을 내고 "교육청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수능 감독관의 소중한 개인정보가 학부모에게 새어 나갔는지 명명백백하게 밝혀내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전교조가 2021년 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능 감독제도 개선을 위한 긴급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사 93.6%가 '의사와 상관없이 수능 감독관에 종사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독관을 지정할 때 교사 동의를 구하는 학교는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명목상으로는 위촉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차출 혹은 동원의 형태인 셈이다.
수능은 원래 대학에서 공부할 능력이 있는지를 따져보는 시험이다. 하지만 사회에서 그 중요도가 커진 만큼 작은 실수도 큰 문제로 번질 수 있어 감독관들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2015년에는 당시 기준으로 반입 가능 물품이었던 디지털 시계를 가지고 있다가 빼앗긴 수험생이 감독관은 물론 국가까지 포함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결국 500만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이뿐만이 아니다. 2021학년도 수능 당시 서울 강서구 덕원여고에서는 2분가량 일찍 종이 울려 시험지를 걷었다가 다시 나눠주는 사건이 있었고, 올해는 서울 성북구 경동고에서 1분30초 일찍 종이 울려 나중에 추가 시간을 주는 일이 벌어졌다. 제주도에서는 1교시 종료 5분여를 앞두고 정전이 발생하는 사고까지 있었다.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현장을 지키는 감독관들은 보다 명확한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10번 넘게 감독관을 맡았다는 한 교사는 "사람이 하는 일이니 실수가 나올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실수가 한 번 나오면 그에 대한 반대급부가 너무 크고 감독관에 대한 보호도 부족하다. 감독관 수당이 매년 조금씩 오르고는 있지만 수당으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용익 기자 / 서정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위성사진이 컬러잖아”…김정은이 봤다는 美괌기지 ‘진위논란’, 왜? - 매일경제
- 길거리서 사라진 호떡·붕어빵…이제 여기서 잘 팔리네 - 매일경제
- “남현희에 배신감”“사랑하고 미안”…전청조 옥중편지 공개 - 매일경제
- 연기금이 쓸어담는다…이달에만 벌써 72% 급등한 이 종목은 - 매일경제
- 한숨 나오는 ‘나의 아저씨’…“결혼 자금 날려” “투자 최대 실수” - 매일경제
- 돈 한푼 안들이고 오피스텔 40실 사들인 남매…청년들 상대로 보증금 40억 꿀꺽 - 매일경제
- 정부 '電맥경화' 처방전…한전 독점 송전시장 민간에 연다 - 매일경제
- “2000만원→300만원 꿈이야 생시야”…종부세 지옥에서 탈출했다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삼성도 네이버도 ‘이 커피머신’만 쓴다…韓 꽉잡은 스위스 100년 기업 - 매일경제
- “고심 끝에 도전 허락 결정” LG, 마무리 투수 고우석 ML 포스팅 허가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