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 중심 개발·물류시설 구축… 라오스 연계성 확장 총력” [2023 세계아세안포럼]

박세준 2023. 11. 22. 18: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라오스는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 중 유일하게 바다를 접하지 않은 국가다.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 세계아세안포럼'의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아세안 연계성 중심국가 라오스의 역할과 한-라오스 경제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중국과 라오스, 다른 아세안 국가의 내륙 간 연결을 강화해 고속도로와 철도 주요 거점의 인프라를 개발해 글로벌 공급망에 참여하는 게 목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션2-韓·라오스 경협 강화방안
연계국 전환 글로벌 공급망 참여 목표
9개 내륙항·5곳 국제공항 건설 등 박차
韓, 루앙프라방공항 확장 사업성 검토
“과학 접목 인프라 개발 중요” 지적도

라오스는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 중 유일하게 바다를 접하지 않은 국가다. 대신 중국·베트남·태국·캄보디아·미얀마 5개국 국경을 접하고 있어 국가와 국가를 이어 주는 연계성(Connectivity) 역할로 주목을 받고 있다. 2021년 중국 윈난성 쿤밍과 라오스 비엔티안을 연결하는 고속철도가 개통됐고, 향후에는 태국 방콕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 세계아세안포럼’의 두 번째 세션에서는 ‘아세안 연계성 중심국가 라오스의 역할과 한-라오스 경제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열띤 토론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3 세계아세안포럼’에서 패널들이 한국·라오스 경제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기봉 아세안비즈니스컨설팅센터장, 이주진 외교부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장, 김소응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리스크관리실장. 이재문 기자
발표자로 나선 반 딜라판 라오스 공공사업교통부 국장은 라오스의 철도, 고속철도, 내륙항(Dry Port), 공항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와 개발 구상 등을 설명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재정 적자, 관광, 무역, 운송 등 경제 전반에서 큰 타격을 받았다”며 “라오스는 대중교통과 물류·운송과 관련한 5개년 계획을 통해 연계성을 확장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오스가 추진하는 교통·운송 정책 구상의 핵심은 라오스를 내륙국에서 연계국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중국과 라오스, 다른 아세안 국가의 내륙 간 연결을 강화해 고속도로와 철도 주요 거점의 인프라를 개발해 글로벌 공급망에 참여하는 게 목표다.
반 딜라판 라오스 공공사업교통부 국장이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 세계아세안포럼에서 아세안 연계성 중심국가 라오스의 역할과 한·라오스 경제협력 강화방안을 영상으로 발표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라오스는 인접국과 연결하기 위한 교통망 구축을 위해 역량을 집중해 왔다. 2021년 11월 중국과 라오스를 잇는 총연장 1000㎞가 넘는 철도가 연결됐고, 라오스에서 태국을 연결하는 고속철 일부 노선(라오스 비엔티안∼태국 농카이)도 개통한 상태다. 여기에 더해 라오스를 동서로 관통하는 미얀마∼태국∼라오스∼베트남 철도망 연결도 추진 중이다. 철도 외에 중국 국경과 인접한 보텐에서 수도 비엔티안까지 연결하는 고속도로 건설사업도 진행 중이다.

종합물류센터 역할을 하는 9개의 내륙항 건설사업과 5곳의 국제공항 건설 및 확장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그는 “환승 중심의 개발과 대중교통 개선, 물류시설 구축 등을 진행하고 메콩 경제특구 개발을 통해 거점 지역의 경제성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사업에 필요한 예산은 해외의 공적개발원조(ODA)와 민간 재정 등을 동원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오스 루앙프라방 모습. 신화·연합뉴스 
아직 한국이 직접 참여하고 있는 라오스의 인프라 사업은 없지만, 일부 사업 분야에서는 양국 간 논의가 진전되고 있는 단계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한국공항공사 등 국내 파트너사와 함께 팀코리아를 구성해 라오스의 제2공항인 루앙프라방공항 확장을 위한 투자개발사업(PPP)을 추진 중이다. 팀코리아가 향후 최종사업자로 선정되면 우리나라가 루앙프라방공항을 단독으로 개발, 운영하게 된다.

김소응 KIND 리스크관리실장은 “루앙프라방 공항은 용량 부족, 노후에 따라 다양한 확장 계획을 잡고 있고 라오스의 연계성 추진을 위해 우리나라가 사업성 검토를 진행하게 됐다”며 “공항을 활성화할 수 있는 노선 계획과 직원 교육 등 다양한 방향과 관련한 사업 제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아세안 국가 중 ODA 등 자금 조달 관련 법적 규제는 대체로 잘 마련돼 있는 편”이라면서도 “우선순위 선정과 세부계획 마련 등 구체적인 분야에서는 일부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라오스의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와의 접목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주진 외교부 과학기술 외교자문위원장은 “과학기술은 국가의 경쟁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분야인 만큼 인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국가 간 협력 체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