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인도적 위기 속 46일 만의 휴전

유영규 기자 2023. 11. 22. 11: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22일(현지시간) 일시 휴전에 전격 합의하면서 전쟁이 발발한 지 46일 만에 총성이 잠시 멈추게 됐습니다.

이스라엘 각료회의는 이날 새벽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에 붙잡힌 인질 약 50명을 석방하고 4일간 휴전하는 내용의 협상안을 승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인질 석방을 위해 수일간 휴전하며 수감 중인 팔레스타인 여성과 아동을 풀어주고 가자지구에 연료와 인도주의적 지원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22일(현지시간) 일시 휴전에 전격 합의하면서 전쟁이 발발한 지 46일 만에 총성이 잠시 멈추게 됐습니다.

이스라엘 각료회의는 이날 새벽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에 붙잡힌 인질 약 50명을 석방하고 4일간 휴전하는 내용의 협상안을 승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인질 석방을 위해 수일간 휴전하며 수감 중인 팔레스타인 여성과 아동을 풀어주고 가자지구에 연료와 인도주의적 지원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피의 보복'으로 민간 인명피해가 크다는 국제사회의 비판 속에 양측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반입될 추가 구호품과 관련해서도 합의를 이뤘습니다.

다만 이스라엘은 일시 휴전이 끝나면 전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전쟁에 따른 참사 우려는 여전하다는 평가입니다.

다음은 2021년 발발한 '11일 전쟁'을 포함, 지난 18년여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 벌어졌던 주요 분쟁 일지입니다.


▲ 2005년 8월 = 이스라엘군(IDF), 평화협정 이행을 위해 중동전쟁 때 이집트로부터 가자지구를 점령한 이후 38년 만에 주둔 병력을 철수하고 유대인 정착촌 20여 곳을 떠남.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통제에 놓임.

▲ 2006년 1월 25일 = 이슬람 조직 하마스,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과반 의석을 차지. 하마스는 폭력을 거두는 것과 이스라엘을 인정하는 것 모두 거부했으며, 이에 따라 이스라엘과 미국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원조를 중단.

▲ 2006년 6월 25일 = 무장한 하마스 병력이 이스라엘군 징집병 길라드 살리트를 생포해 납치, 이스라엘군의 공격을 촉발. 살리트는 5년 뒤에야 포로교환을 통해 석방.

▲ 2007년 6월 14일 = 하마스, 내전 끝에 가자지구 점령. 서안지구에 근거지를 둔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을 따르던 파타 세력을 축출.

▲ 2008년 12월 27일 =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인접한 이스라엘 남부 스데로트 마을이 팔레스타인의 로켓 공격을 받자 이스라엘이 22일간 군사작전이 돌입.

▲ 2009년 1월 3일 = 이스라엘, 가자지구에서의 첫 지상전 시작. 같은 달 18일 휴전 합의가 이뤄지기까지 16일간 팔레스타인인 약 1천400명과 이스라엘인 13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짐.

▲ 2012년 11월 14일 = 이스라엘, 전투기를 동원해 하마스의 군사지도자 아흐마드 자바리 제거. 이후 8일간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의 로켓포 공격과 이스라엘의 공습이 이어짐.

▲ 2014년 7∼8월 = 이스라엘, 자국 10대 청소년 3명이 실종됐다가 시신으로 발견된 납치살해 사건의 배후를 하마스로 지목, 가자지구를 폭격하고 지상군 투입. 두 번째 지상작전. 이에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에 로켓 공격을 감행하면서 이른바 '50일 전쟁'이 발발, 팔레스타인인 2천100명과 이스라엘인 73명이 사망.

▲ 2018년 3월 =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분리 장벽 근처에서 '위대한 귀향 행진'으로 명명된 시위를 시작하자, 이스라엘은 실탄과 탱크로 유혈 진압. 수개월간 충돌이 이어지며 팔레스타인 측에서 17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파악됨.

▲ 2021년 5월 = 이슬람 금식성월 라마단을 맞아 팔레스타인인들이 동예루살렘의 이슬람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을 방문했다가 이스라엘 경찰의 강제퇴거 명령에 반발한 것을 계기로 전면 충돌이 벌어짐. 11일간 교전이 이어지며 가자지구에서 최소 250명, 이스라엘에서 13명이 사망.

▲ 2022년 8월 = 이스라엘이 이란의 지원을 받는 단체의 공격에 대비해 선제 작전을 벌인다며 팔레스타인의 또 다른 무장세력 '이슬라믹 지하드'(PIJ) 최고 사령관 칼레드 만수르를 겨냥해 공습을 벌임. 이에 PIJ가 1천 발이 넘는 로켓포 발사로 응수하며 사흘간의 폭력 사태가 벌어졌고 아동 15명 등 최소 44명이 사망.

▲ 2023년 1월 = 이스라엘군이 난민 캠프를 급습해 팔레스타인 총격범 7명과 민간인 2명을 사살. 이에 PIJ가 이스라엘을 향해 로켓 2발을 쏘자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공습으로 다시 보복.

▲ 2023년 10월 7일 = 하마스,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에 지난 수년래 최대 규모의 공격을 감행. PIJ도 공격에 가담.

▲ 2023년 10월 10일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가자지구에 진입해야 한다"며 지상작전이 불가피하다고 언급.

▲ 2023년 10월 15일 = 바이든 대통령, 미 CBS 방송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점령한다면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전후 재점령에 대한 반대 입장 공개 표명.

▲ 2023년 10월 17일 = 가자지구 알아흘리 병원에 대규모 폭발 발생, 하마스는 이스라엘 소행이라며 이 사고로 약 500명이 숨졌다고 주장. 반면 이스라엘은 하마스 측 PIJ의 로켓 오폭에 따른 참사라고 반박했으며, 이후 미국과 프랑스 등 서방도 자체 분석을 통해 이스라엘 설명이 맞다는 입장을 발표했으나 중동·아랍권에서는 해당 참사를 계기로 반이스라엘 정서가 더욱 고조.


▲ 2023년 10월 21일 = 가자지구 남부와 이집트를 잇는 관문 중 이스라엘이 통제하지 않는 유일한 지점인 라파 국경 검문소를 통해 전쟁 발발 후 첫 구호품 통과.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군사 목적으로 전용할 우려가 있다며 연료 반입은 불허.

▲ 2023년 10월 22일 =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 첫 교전 발생. 하마스의 대전차 미사일에 이스라엘군 1명 전사.

▲ 2023년 10월 27일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에서 지상작전 확대"를 공식 선언하며 사실상 세 번째 지상전을 개시. 가자지구 전역 통신 두절.

▲ 2023년 10월 28일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전쟁이 두 번째 단계에 들어섰다. 길고 어려운 전쟁이 될 것"이라고 선언, 지상전 국면을 공식화. 이란은 "레드라인을 넘었다"며 본격 대응을 경고.

▲ 2023년 10월 29일 =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북부 일부 장악. 가자지구 북부의 한 땅굴에서 나온 하마스 대원들과 이스라엘 지상군 간 교전.

▲ 2023년 11월 2일 = 이스라엘군, 가자시피 포위 완료 선언. 가자지구에 머물던 유일한 한국인 일가족 5명, 라파 국경을 통해 팔레스타인 탈출, 이집트 입국.

▲ 2023년 11월 4일 = 이스라엘군, 주민 대피 위해 고속도로 3시간 개방.

▲ 2023년 11월 6일 = 네타냐후 총리, 미 ABC 뉴스 인터뷰에서 전쟁 이후 가자지구에서 "무기한 전반적 안보를 책임질 것"이라며 재점령 가능성을 시사.

▲ 2023년 11월 15일 = 이스라엘군, 하마스가 가자지구 최대 의료시설 '알시파 병원'에 지휘통제본부를 숨겨두고 있다는 판단 아래 이 장소를 심야 급습.

▲ 2023년 11월 18일 = 미국 워싱턴포스트(WP),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인질 석방 합의에 근접했다고 보도. 백악관 대변인은 "아직 합의 없다"며 보도 부인.

▲ 2023년 11월 19일 = 이스라엘군, 알시파 병원에서 찾아낸 길이 55m 지하 터널 영상 공개.

▲ 2023년 11월 20일 = 알시파 병원에 입원해있던 신생아 31명 이집트로 긴급 후송.

▲ 2023년 11월 22일 = 이스라엘 내각, 하마스에 붙잡힌 인질 50명을 석방하고 4일간 휴전하는 내용의 협상안 승인.

(사진=AP, 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