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 지역구 59곳→113곳 두 배 늘어… 수도권·PK 지각 변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070세대 인구가 2030세대보다 많은 대표적인 '그레이(Gray)' 지역구다.
지난 총선 당시 수도권의 그레이 지역구는 5곳에 불과했는데 3배가 넘게 늘었다.
그 결과 2030세대와 60대 이상 인구 비중이 각각 35%와 20%였는데 이번 총선에서는 26%로 동일해졌다.
이와 반대로 지난 총선 대비 2030세대 비중이 60대 이상보다 더 늘어난 지역구는 253개 지역구 가운데 단 한 곳에 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 지역구 18곳 중 16곳이 '그레이' 지역구
이재명 '계양을'도 '급노령화' 지역구로 꼽혀
2030세대 늘어난 곳은 '동대문갑'이 유일
#경남 창원 의창은 2016년 20대 총선 이후 2030세대(18·19세 포함) 인구가 2만3,427명 줄었다. 전국 253개 지역구 가운데 감소 폭이 가장 크다. 해당지역 전체 유권자의 12%가 빠져나갔다. 반면에 60대 이상 인구는 4,384명 늘었다. 그 결과 2030세대와 6070세대 인구 비중은 35 대 23에서 29 대 30으로 역전됐다.
6070세대 인구가 2030세대보다 많은 대표적인 '그레이(Gray)' 지역구다. 21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 등을 비교·추정해 본 결과, 내년 4월 총선에서 이 같은 사례가 113곳에 달한다. 2020년 21대 총선 당시 59곳과 비교하면 두 배로 늘었다. 연령별 인구분포가 뒤바뀐 지역은 수도권과 부산·경남(PK)에 몰려 있다. 각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강세를 보이는 곳이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각변동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그레이 지역구 17곳이 추가됐다. 서울 7곳, 경기 6곳, 인천 4곳 순이다. 17곳 모두 민주당이 의석을 갖고 있다. 지난 총선 당시 수도권의 그레이 지역구는 5곳에 불과했는데 3배가 넘게 늘었다. 젊은 표심이 선거를 좌우해온 수도권도 고령화의 흐름을 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PK도 17곳이 그레이 지역구 대열에 새로 합류했다. PK 전체 의석수(40석)에 비춰 지역구의 절반 가까이에서 연령대별 인구분포가 역전된 셈이다. 이로써 PK의 그레이 지역구는 전체의 75%인 30곳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부산의 경우 18개 의석 가운데 부산진을, 북·강서을 2곳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지역구가 모두 그레이 지역구로 분류됐다.
그레이 지역구를 능가하는 '급노령화' 지역구도 적지 않다. 지난 총선 대비 인구 증가폭 격차에서 6070세대가 2030세대보다 10%포인트를 웃도는 곳이다. 뒤바꿈 폭이 가장 큰 경남 거제의 경우 2020년 21대 총선과 비교해 2030 인구는 7만 명에서 5만 명으로 줄어든 반면, 60대 이상은 4만 명에서 5만 명으로 늘었다.
그 결과 2030세대와 60대 이상 인구 비중이 각각 35%와 20%였는데 이번 총선에서는 26%로 동일해졌다. 2030은 9%포인트가 감소했고, 6070은 6%포인트가 늘어 둘을 합하면 15%포인트에 달한다. 전국적으로 31곳이 이 같은 급노령화 지역구에 해당하는데, 이 중 17곳이 PK에 속한다. 수도권의 경우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지역구인 인천 계양을 등 8곳이 포함됐다.
이와 반대로 지난 총선 대비 2030세대 비중이 60대 이상보다 더 늘어난 지역구는 253개 지역구 가운데 단 한 곳에 그쳤다. 서울 동대문갑은 60대 이상 인구가 2,000여 명 늘긴 했지만, 2030세대가 3,000여 명 늘어나면서 60대 이상 비중은 29%에서 30%로, 2030세대 비중은 38%에서 39%로 달라졌다. 이외에 서울 영등포갑·서대문갑·관악갑과 경기 평택을 등 주요 대학가, 반도체 산업단지에서 상대적으로 고령층 유권자 비중이 다른 지역보다 증가세가 주춤했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12009350003303)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12018270001923)
김정현 기자 virtu@hankookilbo.com
김도형 기자 namu@hankookilbo.com
이다영 인턴 기자 da0203le@naver.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운찬 "입시에선 실패 모른 서울대생, 일본 야구에 져보며 세상 넓은 것 배웠죠"
- "저도 남의 집 귀한 딸" 교사와 말다툼 벌인 여학생, 무슨 일이
- "소송만 내면 300만원 준다고요?"... 지금 포항은 '지진 위자료 신드롬'
- "남편 외벌이론 못 살아요"... 아이 학년 오르자 취업 나선 엄마들
- 머리 희끗한 김정은, 위성 발사 성공에 한 달 잠행 깨
- "우리 가족 오래 건강하자"던 26세 막내, 4명 살리고 떠나
- 고려대, 커뮤니티 성관계 영상에 '발칵'..."상대 동의 구했다" 주장
- 라이즈 승한, 사생활 논란에 활동 무기한 중단
- 정찰위성은 '핵공격의 눈'... 김정은이 집착한 군사강국 퍼즐
- '결혼 1년차' 아유미 "임신 준비 중, 금주 지루해" ('다시갈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