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전해질 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AIST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로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전해질 신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강택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에릭 왁스만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 연구팀과 기존 소재 대비 전도성이 140배 높은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또 원자단위 시뮬레이션 계산화학을 통해 도핑된 원소가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원리도 알아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KAIST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로 그린수소 생산에 필요한 전해질 신소재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강택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에릭 왁스만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 연구팀과 기존 소재 대비 전도성이 140배 높은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기존 비스무트 산화물 산소 이온 전도체 소재는 중저온 영역대에서 상전이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급격하게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는 도핑을 통해 중저온 영역대에서도 1000시간 이상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또 원자단위 시뮬레이션 계산화학을 통해 도핑된 원소가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원리도 알아냈다.
그 결과, 신소재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 적용해 학계에 보고된 소자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전력 생산 능력을 보였다. 고체산화물 전해전지에도 적용해 기존 대비 2배 우수한 단위면적당 그린 수소 생산 능력을 보였다.
이강택 교수는 “산소 이온 전도체 신소재는 중저온 영역대에서도 안정적으로 높은 전도도를 유지해 세라믹 소자의 높은 작동온도를 낮추는데 활용할 수 있다”며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에너지·환경 소자 상용화에 이번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벤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지난 달 17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강민구 (science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북한, 3차만에 정찰위성 발사 성공 '자축'…"궤도 정확히 진입”
- '마약 음성' 지드래곤, 반격 시작… "악플, 무관용 법적대응"
- 엉덩이 닦은 물티슈로 정수기 닦은 관리원...CCTV에 '경악'
- “폰 문자 확인하다가”…동창생 4명 사망, 터널 사고 원인
- 99년생이 집 산 사연은…“영끌보다 전·월세가 더 무서워”
- 손발톱 ‘음성’ 나온 지드래곤 “스트레스 해소? 더 조심했다”
- "컵라면 쏟았다"며 점주 유인…전자담배 훔쳐 달아난 중학생들
- “아내 준다”며 나온 男, 600만원 짜리 샤넬백 들고 도주…경찰 추적 중
- 주말 주민센터 근무 중 ‘맥주 인증샷’…8급 공무원의 최후
- 남현희 벤틀리 차량 경찰에 몰수…'전청조 선물' 줄줄이 예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