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이게 맞나요"…알바생도 사장님도 분노한 이유는

곽용희 2023. 11. 22.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바생 두 명 중 한 명 꼴로 사업주와 근로 조건 문제로 분쟁을 벌이거나 갈등을 겪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법 등 근로 관계법 규제가 부쩍 늘어난 데다 노동 인권도 발달하면서 사업주와 근로자 간 법적 다툼·갈등이 흔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22일 구인·구직 포털 알바천국이 한국경제신문의 의뢰로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알바생 8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권익'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1%가 "아르바이트 과정 중 고용주와 갈등 겪었다"고 대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바천국 설문…응답자 54.1% "사장님과 갈등"
'임금체불·근로시간 이유로 싸웠다' 78%
'직접 합의' 40.8%, '고용청 향했다' 25.9%
근로시간 등 노동법 규제 강화로 경영 리스크도 '쑥'
사장님들 "근로시간 1분, 임금 1원 실수도 위법"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1.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자신과 다투고 무단결근한 직원 때문에 며칠간 영업에 큰 차질을 빚었다. 계속 연락이 닿지 않은 채 몇 주가 지난 후, 고용청으로부터 "퇴직 이후 14일 이내에 임금을 정산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신고가 들어왔다는 연락을 받게 됐다.

#2. 편의점에서 일하는 B씨는 첫 월급을 타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시급 공고만 보고 일을 시작했는데 예상보다 월급이 적었기 때문이다. 알고 보니 사장님이 '주휴 수당'을 반영하지 않은 것이었다. "알바에 주휴 수당까지 챙기는 건 욕심이 과하지 않냐"는 사장님과 얼굴을 붉힌 B씨는 일을 그만두고 고용노동청을 찾아갔다.

알바생 두 명 중 한 명 꼴로 사업주와 근로 조건 문제로 분쟁을 벌이거나 갈등을 겪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법 등 근로 관계법 규제가 부쩍 늘어난 데다 노동 인권도 발달하면서 사업주와 근로자 간 법적 다툼·갈등이 흔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22일 구인·구직 포털 알바천국이 한국경제신문의 의뢰로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알바생 8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로권익’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1%가 “아르바이트 과정 중 고용주와 갈등 겪었다”고 대답했다.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30대가 58.2%로 가장 높았고 20대도 57.3%로 절반을 훌쩍 넘겼다.

갈등 사유로는 임금체불(급여, 야근·휴일수당, 주휴수당, 해고 예고수당 등)이 5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 밖에 25.9%가 근로시간(휴게시간, 근무 시간 위반)으로 임금·근로시간 문제가 총 77.5%에 달했다.

그밖에 열악한 휴게 시설이나 휴게 시간 미준수 문제가 20.5%였고, 괴롭힘이나 성희롱이 19.4% 순으로 높았다. 근로계약서 작성 위반(17.8%)과 최저임금법 위반(15.5%)도 뒤를 이었다.

갈등을 겪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업종은 '웹 디자인(그래픽, 편집, 모바일 등)'과 ‘고객상담·영업·리서치’ 분야였다. ‘IT·인터넷(사이트 및 콘텐츠 운영, 바이럴 마케팅)’, ‘미디어(보조출연, 방청 등)’에서도 갈등을 겪었다는 응답이 높은 편이었다.

갈등을 겪은 시점은 '근로 중'이 61.7%로 가장 높았고 '퇴사 과정'이 16.0%, '퇴사 이후'가 14.0%였다. '구직 과정'은 5.2%에 그쳤다. 

갈등을 겪은 빈도는 '1회'가 24.5% 기록했고 2회 이상 갈등을 겪었다는 응답이 75.5%에 달했다. 한 사람당 ‘2회 이상 5회 미만’이 59.0%로 가장 많았다.

해결을 시도한 방법으로는 ‘직접 합의’가 40.8%, ‘고용노동부 민원’이 25.9%, ‘부모님 등 지인 도움’이 9.7%, ‘혼자 공부해서 해결’이 9.0% 순으로 높았다.

최종적으로 갈등이 해결됐다고 답한 알바생은 77.7%였다. 해결 방법별로 해결률을 따져 본 결과 고용노동부의 도움을 받은 경우의 해결률이 85.2%로 가장 높았다. 사업주와 합의도 84.5%로 나타나 대화로 상황을 해결하는 경우고 적지 않았다. 알바 동료의 도움을 받은 경우(62.1%)가 되레 해결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갈등 해결 때까지 걸린 시간은 1개월 이내가 35.9%였고 일주일 이내가 34.8%를 차지해 대부분 한 달 내에 해결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6개월 이상 걸린 경우도 10.6%에 달했다.

한 프랜차이즈 업체 사장은 “인력이 워낙 부족해 알바들이 '귀한 몸'이 된 데다, 미디어 등을 통해 법률 상식 등을 접하면서 권리 의식도 고도로 발달했다"며 "근로시간 1분, 임금 1원 한장만 잘못 돼도 신고 당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늘 조심한다”고 말했다.

정상태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악의적으로 법을 위반하는 사업주도 있지만, 노동관계 법령이 복잡해지면서 법령 해석을 잘못하는 바람에 임금체불 등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신규 사업주와 미성년자 등에 대한 기초적인 노동법 교육 등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알바천국은 오는 12월 1일까지 ‘2023 알바생의 권익 교육 및 상담’ 참여 고등학교를 모집한다. 청소년근로권익센터와 함께하는 이번 교육을 통해 첫 알바 구직에 나서는 청소년에게 아르바이트 상식 및 구직·근무 시 유의사항 등을 전하고 올바른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문화를 안내한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