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3차 위성 언제 쏘나…1·2차 모두 '예고기간 첫날' 발사(종합)

김지헌 2023. 11. 21. 11:5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12월 1일 발사" 오늘 통보…기상 악화 전 22일 새벽 유력
1·2차와 낙하 경보구역 비슷…발사장 일대 야간 불빛 식별
5월 31일 북한 군사정찰위성 1차 발사 시도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오수진 김준태 기자 =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3차 발사를 예고함에 따라 발사 시점이 언제일지 관심이 쏠린다.

일본 해상보안청에 따르면 북한은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21일 새벽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북한이 일본에 인공위성 발사계획을 알린 것은 국제해사기구(IMO) 총회 결의서에 따라 운영 중인 전세계항행경보제도(WWNWS) 때문이다.

WWNWS에서 한국·북한과 동남아 등이 속한 구역(NAVAREA XI)의 조정국은 일본이고, 회원국은 조정국에 해상사격훈련과 같은 긴급 사항을 알려야 한다.

북한은 지난 5월 29일 WWNWS에 '5월 31일∼6월 11일 중 발사'를 통보하고 이틀 지난 31일 1차 발사에 나섰다. 8월 22일에는 '8월 24∼31일 중 발사'를 알리고는 역시 이틀 뒤인 24일 2차 발사를 감행했다.

1, 2차 발사는 모두 이틀 여유를 두고 통보한 다음 예고기간 첫날 발사하는 패턴으로 이뤄진 셈이다.

이번에는 예고기간 첫날까지의 여유가 하루에 불과해 예전과 다르다. 다만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할 때 예고기간 첫날인 22일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북한이 위성을 쏘는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과 가까운 북한 신의주는 22일 0시부터 오전 7시까지 흐릴 것으로 예보됐다.

오전 8시 이후로는 강수 확률이 최고 60%까지 오르기 때문에 이른 새벽에 발사할 공산이 크다. 북한은 8월 24일 2차 발사를 오전 3시 50분에 단행한 이력이 있다.

22일 새벽이 지나면 동창리 일대에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어서 군 당국이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과거에도 북한은 연료를 주입하면 최단 시간 내 발사했다"며 "위성발사 시에도 날씨를 고려해서 바로 쏠 수 있게 미리 준비한다"고 말했다.

기온이 비교적 온화한 주중이 지나면 24일에는 신의주 아침 기온이 영하 7도까지 떨어지고 이 추위는 25일까지 이어진다.

이춘근 과학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추운 날씨에서 추진제가 얼어버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보온이 어느 정도 되기는 하겠지만, 북한으로선 24∼25일은 피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낙하한 엔진 등이 한국에 인양되는 상황을 피하고자 조류가 빠른 날을 택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어청도 기준으로 물이 빨라지는 내주 초까지 기다려야 해 과거 신속하게 발사한 북한의 패턴과 맞지 않는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북한 위성 발사체가 액체연료를 쓰는 만큼 발사대에 얹어두고 장기간 대기할 수는 없으므로 (준비를 마친 뒤에는) 최대한 빨리 쏘려고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북한이 통보한 낙하 예상지점 3곳 (서울=연합뉴스) 북한은 전세계항행경보제도(WWNWS) 조정국인 일본에 오는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21일 통보했다. 지도에서 푸른색으로 표시된 사각형 3곳이 북한이 밝힌 낙하 예상구역이며 위쪽부터 차례로 A, B, C 지점이다. [일본 해상보안청 제공]

북한은 1·2차 발사 때와 같은 엔진으로 3차 발사 도전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일본에 통보한 항행경보 구역 세 지점이 2차 발사 때 설정한 구역과 동일하고 1차 때와도 거의 같기 때문이다.

북한은 전북 군산 쪽의 서해 먼바다 A 지점에 1단 엔진, 제주도 서쪽 먼 해상 B 지점에 위성 덮개(페어링), 필리핀 루손 동방 해상 C 지점에 2단 엔진이 낙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동일한 낙하 예상지점은 기존 1, 2단 엔진의 설계 변경, 성능 변화, 발사 운용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2차 발사 실패 후 3개월 만에 재발사를 시도하고 궤적이 동일하게 제시된 점을 볼 때 엔진 자체에 설계 변경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에 실패로 끝난 1, 2차 발사와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면 러시아의 위성 관련 대북 군사기술 지원 증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2년 12월 15일 서해위성발사장의 엔진 지상시험 장면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일대에서는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 위성에 야간 불빛이 식별돼 분주한 발사 준비 정황을 뒷받침했다.

이달 들어 6, 9, 13, 14, 16, 17일에 서해위성발사장 기존 발사대 위치에서 조명이 명확히 포착됐다.

1, 2차 발사는 기존 발사대로부터 동남쪽 약 3㎞ 떨어진 지점의 신규 발사대에서 단행됐고 당시 신규 발사대 주변에서 야간 불빛이 보였는데 이번에는 기존 발사대 주변에서만 빛이 새어 나와 발사대 변경 가능성이 제기된다.

j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