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시스템까지 동시에 고장…국가전산망 어떻게 믿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의 네트워크 장비(L4스위치)에 이상이 생겼다. 왜 이상이 발생했는지는 모른다."
주민센터에서 현장 공무원이 자신의 신원 인증을 하면 이 정보는 'L4스위치'란 장비를 거쳐 인증시스템에 전달되는데 이 매개 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실장은 19일 오후 브리핑에서 "노후화된 장비는 아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도 수십대의 동일한 장비를 현재 운영하고 있는데 다른 곳에선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시스템의 네트워크 장비(L4스위치)에 이상이 생겼다. 왜 이상이 발생했는지는 모른다.”
정부 행정전산망과 ‘정부24’ 민원 서비스가 멈춰선 것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을 요약하면 이렇다. 행안부가 처음 시스템 장애를 발견한 시각은 17일 오전 8시46분, 문제가 된 네트워크 장비를 교체한 건 18일 새벽이다. 하지만 행안부는 ‘먹통’이 된 지 사흘째인 19일 오후까지도 “(이상이 발생한) 장비 안에 어떤 부분이 실제로 문제를 일으켰는지는 더 면밀한 조사를 거쳐야 (원인을) 확정할 수 있다”는 말만 반복했다. 행안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국가정보통신망 및 통신인프라 장애 발생에 대비해 주기적으로 ‘장애 대응 모의훈련’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민원 대란’ 앞에선 속수무책이었다.
문제가 된 네트워크 장비(L4스위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는 정보를 어느 서버로 보낼지 결정하는 통신 장비라고 한다. 주민센터에서 현장 공무원이 자신의 신원 인증을 하면 이 정보는 ‘L4스위치’란 장비를 거쳐 인증시스템에 전달되는데 이 매개 장치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원인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장비가 낡은 것도 아니고, 정기점검에서도 문제가 없었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16일 저녁 네트워크 장비에 새 패치(소프트웨어)를 깔았지만 “장비 오류와 인과관계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고도 했다.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실장은 19일 오후 브리핑에서 “노후화된 장비는 아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도 수십대의 동일한 장비를 현재 운영하고 있는데 다른 곳에선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시로 하는 정기점검에선 문제가 드러나지 않았고, 최근에 한 점검이 (해당 장비에) 영향을 끼쳤다고도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대체(이중화) 장비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다만 대체 장비마저 같은 이상이 발생했단 점에서 문제는 더 심각하다. 서 실장은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비를 이중화해서 운영하고 있다”며 “사고 당일에는 이중화돼 있는 동일한 두개의 장비가 순차적으로 계속 문제를 일으켜 장애가 발생한 것”이라고 했다. 해킹 의혹과 관련해선 “현재로선 (해킹이라고 볼) 특별한 이상 징후는 없다”며 선을 그었다. 원인 발표가 늦어진 데 대해선, 문제가 된 장비를 교체한 뒤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험해볼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란 설명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먹통’ 사태 장기화가 국가 정보망 자체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는 점을 가장 우려했다. 김형중 호서대 디지털금융경영학과 석좌교수는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말라고 네트워크나 서버를 이중화(백업)하는데, 백업 시스템까지 동시에 고장난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삼열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도 “두 장비가 동시에 고장날 확률이 낮기 때문에 (장비 고장은) 일종의 증상일 뿐 다른 (근본적인) 이유가 있을 수 있다”며 “특히 백업이 실패한 게 큰 문제다. 전체 공공 정보자원 인프라에 대해 불신을 키운 건 상당히 심각한 일”이라고 말했다.
해당 장비에 대해선 현재까지 민관 전문가 100여명이 원인을 조사 중이다. 행안부는 20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지방행정전산서비스 장애 대응 상황실’을 운영해 서비스 정상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만약 또다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인증시스템을 이용하는 대신 ‘아이디·패스워드 로그인 방식’으로 전환하고, 민원을 수기로 접수하는 등의 조처를 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지방자치단체·관계기관·민간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지방행정전산서비스 개편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종합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박다해 윤연정 김채운 기자 doal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준석이 움직인다…앞으로 한 달, 제3지대 누가 뭉칠까
- [단독] 화곡동 전세사기 건축주, 또 빌라 임대…추가 피해 우려
- 앱 딱 4개, 이 스마트폰으로 800억 벌었다…노인을 위한 기술
- 신유형의 킬러문항 등장…사교육 시장은 이미 대비 중이다
- ‘내년 예산 0원’ 문 닫는 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정부 이해 안 돼”
- ‘마약 3천여회’ 투약 전력 있는데…연합뉴스TV 최대주주 논란
- 한국, 연장 승부치기서 일본에 역전패…APBC 준우승
- 정주영·김종필·안철수…‘맨 파워’로 부딪힌 제3신당 역사
- ‘3시간 팬미팅’ 대구 찍고 대전행…한동훈, 출마 결심 굳혔나
- 이준석 “윤 대통령보다 외치 잘 할지도…언젠가 한동훈과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