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게임:더 챌린지’, K콘텐츠는 이 게임에 참가 못 한다

한겨레 2023. 11. 18. 0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넷플릭스·2021)이 미국에서 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오는 22일 공개된다.

이른바 '케이(K) 드라마'의 위상을 한껏 높인 '오징어 게임'의 확장이 기대되는 한편으로 어딘가 헛헛한 느낌도 든다.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는 미국 인기 게임 예능인 '더 트레이터스'를 만든 스튜디오 램버트 등이 제작했다.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의 등장은 이른바 '케이'라는 표현을 쓰며 으쓱대던 어깨를 멈추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짜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주의 방송 이슈]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넷플릭스 제공

드라마 ‘오징어 게임’(넷플릭스·2021)이 미국에서 리얼리티 예능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오는 22일 공개된다. 10부작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다. 참가자 456명이 ‘데스 서바이벌’ 게임을 벌이고 최후의 1인이 456억원을 가져가는 드라마 설정을 그대로 차용했다.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게임’ 등 이제는 전세계 시청자한테 익숙해진 게임도 그대로 등장하는 등 드라마 서사를 잘 활용했다.

이른바 ‘케이(K) 드라마’의 위상을 한껏 높인 ‘오징어 게임’의 확장이 기대되는 한편으로 어딘가 헛헛한 느낌도 든다. 드라마와 달리 예능은 우리가 만든 게 아니다.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는 미국 인기 게임 예능인 ‘더 트레이터스’를 만든 스튜디오 램버트 등이 제작했다. 소재도 원작 드라마에서 가져왔고 프로그램 중간중간 한글 표지판도 그대로 넣었지만 출연자들은 대부분 미국을 중심으로 영어권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다.

2021년 ‘오징어 게임’ 성공 뒤 지식재산권(IP)이 넷플릭스에 귀속되는 것에 우려했던 상황이 결국 여기까지 왔다. 우리가 창작했지만 우리는 활용할 수 없는 상황.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의 등장은 이른바 ‘케이’라는 표현을 쓰며 으쓱대던 어깨를 멈추고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진짜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넷플릭스 제공

‘오징어 게임’은 분명 케이콘텐츠의 위상을 한 차원 높였지만 실익만큼 후폭풍도 적지 않다. 이후 글로벌한 성공과 성과에 대한 한국 창작자의 자신감이 과잉됐고 플랫폼도 늘면서 기획서 하나만 있으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거품들이 생겨났다. 글로벌 오티티 등장에 배우 출연료는 더 치솟고 고임금 스태프들도 늘면서 드라마 제작비가 가파르게 상승했다. 제작을 하면 할수록 적자라는 얘기들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케이드라마 미래에 대한 회의감이 생겨나고 있다. 실제로 토종 오티티들이 케이콘텐츠가 그려내는 장밋빛 미래에 무리하게 투자했던 것이 이제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있다. 적자 폭이 늘면서 초창기의 과감한 투자는 찾아보기 어렵고 올해 오리지널 드라마도 거의 만들지 못했다.

케이콘텐츠 위기 속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 것인가. 깊이 고민해야 할 때다.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 케이콘텐츠라는 거대한 장밋빛 그림에만 도취될 게 아니라 실익을 찾아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아이피 문제도 계약 때부터 현실화하고 내용 없이 규모만 키운 블록버스터 장르 대신 완성도 높은 대본에 투자가 계속돼야 한다. 대만의 ‘상견니’ 같은 작품이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멜로에 판타지가 더해진 작은 규모의 작품이지만, 촘촘한 대본으로 승부해 전세계에서 마니아층을 확보했다. 오티티 시대에 글로벌 맛을 보며 우리도 경쟁력을 키웠다. 2021년 ‘오징어 게임’이 등장할 때와 같은 시선에서 우리 콘텐츠를 바라봐서는 안 될 것이다.

글로벌 콘텐츠 시장도 일종의 ‘오징어 게임’에 돌입했다. 글로벌 오티티가 대자본을 풀어 판을 깔아 놓고 그걸 차지하기 위해 로컬의 제작사들이 생존 서바이벌을 벌이는 상황이다. 그 안에는 당연히 협력도 있지만 뒤통수를 치는 배신도 펼쳐진다. 또 어렵게 성공을 거두고 나서도 얻은 것보다 잃은 게 더 많은 상황을 맞기도 한다. 침착하게 판세를 읽어가며 때론 과감하게 때론 조심스럽게 이 글로벌 게임에 임하지 않으면 우리의 실익을 찾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잘못하다가는 돈만이 아닌 정신까지 탈탈 털리는 오징어 게임 깊숙이 우리도 들어와 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