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living for the means of happiness alone (KOR)

2023. 11. 17. 13: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가 원했든 원치 않았든 우리는 지금 자본주의 사회에 산다.

그 자본주의를 가장 고민하며 성찰한 사람은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1864~1920)인데, 정작 그는 자본주의의 장래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그는 이런 이유로 자본주의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그는 자본주의 시대에 자본가가 양심과 자비심에 따라 살리라고 믿었고, 인간이 재화 앞에서 얼마나 비정한지를 예견하지 못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Just like us today, a society where money has the highest value is not happy, because people live for the means of happiness,

SHIN BOK-RYONGThe author is a former chair professor of history at Konkuk University. Whether you like it or not, we live in a capitalist society. German sociologist Max Weber (1864–1920) was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capitalism. He worried that capitalism would struggle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first is the unreasonable demands of the workers. It is rare that the working class purely demands higher wages. A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report calculated that the cost of social discord from strikes and walkouts, construction suspension, facility occupation, environmental controversy, compensation for damages, demands for attracting companies, and undesirable facilities in Korea amounts to 27 percent of Korea’s gross national product. This is equivalent to the combined profits of Samsung (21 percent) and LG (7.7 percent).

The second reason is the untrained burst of free will. The crowd — reminiscent of the psychology of the Jacobin period associated with extreme egalitarianism and violence shortly after the French Revolution — shows a complicated pattern with dash, anger, vengeance, anti-Japan sentiments, chants, and desires for upward social mobility.

They feel with their hearts and do not think with their brains. There are countless examples of liberty violating liberty in human history. They get furious in the name of restoring justice. They equality, but there is no period in history when the two values of liberty and equality have coexisted. The French Revolution, in which the people attempted to achieve liberty, equality and fraternity at the same time was an illusion.

The third reason is the greed of the capitalists. Adam Smith’s biggest mistake was adhering to the theory that humans are good by nature. The world, through his eyes, was rosy. He believed that capitalists would live by conscience and mercy in the age of capitalism, and could not foresee how humans could be heartless before money.

Smith could not see what Marx had seen. In that sense, he was a good predictor, but not a wise prophet. Just like us today, a society where money has the highest value is not happy, because people live for the means of happiness, not for happiness itself.

막스 베버의 고민신복룡 건국대 명예교수/역사학

우리가 원했든 원치 않았든 우리는 지금 자본주의 사회에 산다. 그 자본주의를 가장 고민하며 성찰한 사람은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1864~1920)인데, 정작 그는 자본주의의 장래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그는 이런 이유로 자본주의가 어려워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첫째, 노동자들의 불합리한 요구다. 노동 계급의 투쟁이 순수하게 임금 인상만을 요구하며 전개된 역사적 사례는 드물다. 지금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파업과 태업, 공사 중단, 시설 점거, 환경 논란, 피해 보상, 기업 유치 요구, 혐오 시설 등으로 빚어지는 사회적 갈등 비용은 국민총생산의 27%(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다. 이는 삼성(21%)과 LG(7.7%)의 이익을 합친 것과 같다.

둘째, 훈련되지 않은 자유 의지의 폭주다. 자코뱅 시대의 심리를 연상하게 하는 군중은 질주, 분노, 복수심, 반일, 고함, 신분 상승의 욕구, 토지·주택에 대한 갈망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그들은 머리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느낀다. 인류 역사에서 자유가 자유를 유린한 사례는 허다했다. 그들은 정의의 회복이라는 이름으로 분노하며 질주한다. 그들은 평등이라는 가치를 함께 요구하지만, 자유와 평등이라는 두 가치가 공존하는 시대는 없었다. 자유·평등·박애를 함께 이루려던 프랑스혁명은 허구였다.

셋째, 자본가의 탐욕이다. 애덤 스미스의 가장 큰 실수는 끝까지 성선설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의 눈에 비친 세상은 장밋빛이었다. 그는 자본주의 시대에 자본가가 양심과 자비심에 따라 살리라고 믿었고, 인간이 재화 앞에서 얼마나 비정한지를 예견하지 못했다. 마르크스가 본 것을 그는 보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그는 선량한 예언자였지 지혜로운 선지자는 아니었다. 지금의 우리처럼 돈이 최고의 가치인 사회는 행복하지 않다. 목표를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수단을 위해 살고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