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반란 옆에서 보는 듯...소품·의상 실재감 살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겁이 났어요. 시나리오는 굉장히 좋았지만 아무래도 주인공인 군사반란 세력이 멋진 악당처럼 묘사되지 않을까 걱정했죠. 그래서 (제작사 측에) 자신 없다고 말했는데 받는 순간부터 그 세계에 빠져들었어요. 흥분 상태가 계속됐죠. 연출을 결심하는데 1년 정도 걸렸어요."
"처음엔 실명을 쓰는 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의 이름을 조금 바꾸니 (연출이) 굉장히 자유로워졌어요. 그 사람이 제 영화에 들어오게 하는 게 아니라 그 시대 겪은 제가 상상의 나래를 펼쳐 저만의 인물을 만든거죠. 마지막에 반란 세력의 기념 사진으로 영화를 마무리한 것은 그 사진이 승리의 기록이 아닌, 부끄러운 기록이 되길 바랐기 때문이에요."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란군은 멋진 악당이 아니다
부끄러운 역사 되새겨볼 계기
“겁이 났어요. 시나리오는 굉장히 좋았지만 아무래도 주인공인 군사반란 세력이 멋진 악당처럼 묘사되지 않을까 걱정했죠. 그래서 (제작사 측에) 자신 없다고 말했는데 받는 순간부터 그 세계에 빠져들었어요. 흥분 상태가 계속됐죠. 연출을 결심하는데 1년 정도 걸렸어요.”
22일 개봉하는 영화 ‘서울의 봄’의 김성수(사진) 감독은 최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헤럴드경제와 만나 영화 연출의 제의를 받았을 때의 복잡한 심경을 이렇게 전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보안사령관이 무력을 총동원해 군을 불법적으로 장악한 군사 반란의 9시간을 그린 작품이다. 김 감독이 영화 ‘아수라’이후 7년 만에 내놓은 신작이다.
“제 인생의 수수께끼였어요. 그날 무슨 일이 있었고, 권력이 어떻게 한 순간에 빼앗길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요. 나중에 30대 중반에 감독으로 데뷔할 무렵에서야 사건의 윤곽은 알았어요. 그렇지만 사람들의 내부 이야기는 안 나오더라고요. 사료를 바탕으로 제 생각대로 그 사람들의 그날 밤을 재현해보고 싶었어요.”
영화는 하나회 중심으로 군사 반란을 주도하는 전두광(황정민 분)과 이를 진압하려는 이태신 수도경비사령관(정우성 분)의 대립이 중심축으로 전개된다. 이태신은 끝까지 반란 세력에 대항하는 몇 안 되는 군인 중 한 명으로 나온다. 영화는 실제 사건을 큰 틀로 뒀지만, 영화적인 허구가 가미됐다.
“반란 세력을 역으로 비추는 거울로서 당시 신념을 지킨 진짜 군인을 부각해 반란 세력이 얼마나 잘못했는지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평소 삶의 원칙을 가지고 산 사람들은 일이 순식간에 벌어질 때 자기 판단으로 전 생애에 답한다고 생각해요. 그 분들은 그런 삶을 살았기 때문에 그런 판단을 한 거죠. 당시에 진짜 군인 분들이 있었다는 걸 지금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어요.”
영화는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하지만, 등장인물 이름은 실명 대신 가명을 썼다. 이는 연출의 자유를 위한 것이었다고 김 감독은 설명했다.
“처음엔 실명을 쓰는 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그 사람의 이름을 조금 바꾸니 (연출이) 굉장히 자유로워졌어요. 그 사람이 제 영화에 들어오게 하는 게 아니라 그 시대 겪은 제가 상상의 나래를 펼쳐 저만의 인물을 만든거죠. 마지막에 반란 세력의 기념 사진으로 영화를 마무리한 것은 그 사진이 승리의 기록이 아닌, 부끄러운 기록이 되길 바랐기 때문이에요.”
영화는 누구나 결말을 다 아는 역사적인 사건을 그리지만, 2시간이 넘는 런닝타임 내내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실제 군사 반란을 옆에서 지켜보는 느낌이 들 정도다. 이 역시 김 감독의 연출 의도가 고스란히 담긴 것이다.
“관객이 9시간의 소용돌이에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다만 너무 드라마틱하거나 다큐가 아닌 그 중간 어디에선가 긴장감을 항상 유지하면서 (사건을) 계속 옆에서 볼 수 있게 하려고 했죠. 소품이나 의상 하나 하나의 분위기도 실재감을 줘야 한다는 생각이 컸어요.”
김 감독은 관객이 영화를 관람하고서 당시 사건을 제대로 살펴본다면 감독으로서 ‘원대한 희망’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봤다.
“제 인생의 수수께끼이자 숙제였던 사건을 영화로 풀어서 낸 작품이에요. 절 처음에 이끈 것이 이 사건에 대한 의구심이었듯이 관객 분들도 이 영화를 본 뒤 그런 호기심으로 역사책을 다시 펼쳐봤으면 좋겠습니다.”
이현정 기자
re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효주, 칼질하다 손 부상 병원行…조인성 "큰일났다"
- '나혼산' JMS 호텔서 촬영 논란…"정명석이 몹쓸 짓 한 곳"
- ‘이혼’ 박지윤 첫 심경 “변명하고 싶지 않아…지난날 잘못 반성”
- 'JTBC 뉴스룸' 안나경 아나운서, 10년 열애 끝 변호사와 결혼
- “전청조 사기 몰랐다”는 남현희…고소·고발 5건으로 늘어
- “페미니스트 영부인과 결별” SNS에 고백한 37세 칠레 대통령
- 한가인, 단발하고 첫촬영…"화면이 실물 못 담아"
- [영상]“쾌변에 좋은 자세? 진짜 효과 있네!”…女의사가 올린 틱톡 영상, 2600만뷰 화제
- 한석규, MBC 새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주인공 확정 …안방극장 복귀
- 37명 성관계몰카+51번 성매매+마약=징역 3년…유명 리조트 2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