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두 아들 두고 참전한 故 강윤식 일등중사… 73년 만에 귀환

허고운 기자 2023. 11. 17. 10: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전쟁(6·25전쟁) 당시 조국을 지키기 위해 아내와 두 아들을 두고 참전했던 고(故) 강윤식 일등중사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지난 2012년 강원도 인제에서 발굴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국군 제5사단 소속 강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쟁 발발 후 자진 입대… 1951년 '인제지구 전투'서 27세에 전사
고(故) 강윤식 일등중사. (국유단 제공)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한국전쟁(6·25전쟁) 당시 조국을 지키기 위해 아내와 두 아들을 두고 참전했던 고(故) 강윤식 일등중사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지난 2012년 강원도 인제에서 발굴한 6·25전쟁 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국군 제5사단 소속 강 일등중사(현 계급 하사)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로써 군 당국이 2000년 4월 유해 발굴 사업을 시작한 이래 신원을 확인한 6·25전사자는 총 222명이 됐다.

국유단에 따르면 고인은 1922년 9월 제주도 서귀포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당시 고인의 부모는 고구마·보리농사를 하며 살았고, 고인은 후대가 없는 친척의 양자로 들어갔었다고 한다.

1942년 결혼한 고인은 1950년 6·25전쟁 발발에 따라 그해 9월 제주에 있던 육군 제5훈련소에 자진 입대했다.

이후 5사단에 배치된 고인은 대구로 이동, 같은 해 10월엔 '영남지구 공비토벌'에 참전했다. 이후 그는 '횡성-포동리 전투'와 '태기산 전투'를 거쳐 '인제지구 전투'에서 북한군과 맞서 싸우다 1951년 4월27일 27세 나이로 전사했다.

'인제지구 전투'는 1951년 당시 중공군의 2월 공세 뒤 국군과 유엔군의 반격과정에서 캔자스선(한탄강 이남)으로 북진하던 제5사단이 소양강 일대에서 북한군 제6·12사단과 싸운 전투다.

발굴 당시 고(故) 강윤식 일등중사 유해.(국유단 제공)

국유단과 육군 제12보병사단 장병 100여명은 2012년 4월 인제군 박달고지 능선 일대에서 경사면을 따라 6·25전사자 유해 발굴 작업을 하던 중 고인의 오른쪽 넙다리뼈를 수습했다.

고인의 증손자 성문씨(23)는 2021년 군에 입대 뒤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알게 돼 부친과 고모에게 유전자 시료 채취 동참을 권유했고, 국유단을 이를 바탕으로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와 유해 유전자를 비교·분석해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인에 대한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이날 경기도 군포 소재 유가족 자택에서 열렸다.

고인의 손자 철진씨(54)는 "해군 부사관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아버지가 할아버지(강 일등중사) 유해를 한평생 기다리다 눈을 감았다"먀 "이제라도 찾아 다행이다. 이렇게 신원을 확인할 수 있을진 꿈에도 몰랐다"고 밝혔다.

고인의 며느리 김영자씨(79)는 "시어머니가 시아버지와 오랜 기간 함께 살지 못했다"며 "지금이라도 제주 선산에 묻힌 시어머니와 합장해 꿈에 그리던 해후가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6·25전사자 유가족(전사자의 친·외가 포함 8촌까지)은 국유단에 전사자 유해 신원 확인에 필요한 유전자 시료 채취를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자가 제공한 유전자 정보로 전사자 유해 신원이 확인됐을 땐 포상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국유단은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하다"며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지만 거동이 불편하거나 생계 등 때문에 방문이 어려운 유가족의 경우 대표번호 1577-5625로 언제든 연락하면 직접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