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재벌집 아들은 승계중 … 상속액 160조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경제 성장을 견인해온 주요 기업이 본격적인 가업 승계에 나서고 있다.
이들 2세는 대부분 중국에서 나고 자랐지만, 미국·영국 등 해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20·30대 젊은 나이에 부모가 설립한 회사로 돌아와 사업 부문이나 계열사를 맡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다 보니 중국으로 돌아오는 자녀가 많아지고, 가업 승계도 더 활발해질 것으로 하오 소장은 내다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표 기업 11곳 승계 착수
2세 대부분 美·英 유학파
中최고 갑부 '생수왕' 중산산
아들에 물려줄 자산만 81조원
중국 경제 성장을 견인해온 주요 기업이 본격적인 가업 승계에 나서고 있다. 창업자의 은퇴 시기가 다가오면서 해외 유학파 출신의 20·30대 자녀가 경영 전면에 나서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은 가업 승계라는 개념이 희박하고 상속세도 없는데, 최근 빈부격차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 당국이 언제 규제 잣대를 들이댈지 몰라 풍부한 외국 경험과 젊은 감각을 앞세운 2세들이 순탄하게 기업을 물려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중국 대기업 11곳에서 '2세 경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녀가 회사 대표를 맡고 있거나 특정 사업 부문을 총괄하는 식으로 이미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회사다. 11개 기업의 2세가 부모에게 물려받을 상속 규모는 지난달 말 기준 1200억달러(약 15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상속 규모는 중슈즈 눙푸스프링 사외이사가 가장 많다. 중국 최고 부자인 '생수왕' 중산산 눙푸스프링 회장의 아들로, 물려받을 자산 규모만 623억달러(약 81조원)에 달한다. 1988년생인 중 사외이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대에서 영어를 전공한 뒤 2014년 눙푸스프링에 합류했다. 현재는 사외이사로서 사업 계획과 투자 활동에 관해 조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6년 설립된 눙푸스프링은 중국 최대 생수 제조사로 성장했다.
그다음으로는 중국 최대 민간 석유화학 기업인 헝리그룹 2세 천이팅 헝리석유화학 국제경영무역본부장이 꼽힌다. 상속 금액은 106억달러(약 13조8000억원)에 이른다. 1993년생인 천 본부장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헝리그룹의 여행 부문 이사로 근무하다 현재 싱가포르에서 헝리석유화학의 해외사업 부문을 이끌고 있다. 중국 쑤저우에 본사를 둔 헝리그룹은 판훙웨이 회장과 남편 천지엔화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이다.
'중국의 헨리포드'로 불리는 리수푸 지리그룹 회장의 아들 리싱싱 링크앤코 전무의 상속 금액도 101억달러(약 13조2000억원)로 집계됐다. 1985년생인 리 전무는 영국 에식스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뒤 2012년 지리그룹에 입사했다. 현재는 지리와 스웨덴 볼보의 합작 전기차 브랜드인 링크앤코를 총괄하고 있다.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지리는 2010년 볼보를 18억달러(약 2조3000억원)에 인수하며 중국 최대 자동차 업체로 성장했다.
한소제약 창업자인 중후이쥐안 회장의 자녀인 쑨위안 한소제약 전무도 상속 금액이 84억달러(약 11조원)로 추정된다. 1987년생인 쑨 전무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생명의학을 전공했다. 이후 투자회사에서 분석가로 일하다 2011년 한소제약에 입사했다. 현재는 해외 사업과 연구개발 등을 맡고 있다. 쑨 전무의 모친인 중 회장이 설립한 한소제약은 장쑤성에 본사를 두고 있다. 당뇨병·종양 치료 의약품이 주력 제품이다.
이들 2세는 대부분 중국에서 나고 자랐지만, 미국·영국 등 해외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20·30대 젊은 나이에 부모가 설립한 회사로 돌아와 사업 부문이나 계열사를 맡고 있다. 풍부한 해외 경험과 젊은 감각을 무기 삼아 해외 및 신사업 진출과 젊은 고객층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하오가오 칭화대 글로벌가족기업연구센터 소장은 "중국 재계에서 이러한 자녀 승계가 빨라지고 있다. 과거보다 5~10년씩 앞당겨지는 경향이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다 보니 중국으로 돌아오는 자녀가 많아지고, 가업 승계도 더 활발해질 것으로 하오 소장은 내다봤다.
[송광섭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재주는 삼성이 부리고 돈은 ‘이 기업’이 쓸어담네…이유 알고보니 - 매일경제
- 12억에 산 집, 지금은 고작 8억 ‘날벼락’…바닥에 사서 꼭지에 팔려면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의사들 큰일났네”…사라지는 341만개 일자리, 고연봉부터 ‘쓱’ - 매일경제
- “야밤 진동소리에 ‘덜컥’”…빚 50만원 순식간에 539만원, 사금융 피해 ‘주의보’ - 매일경제
- 서울 아파트마저 안 팔린다…대신 이것 알아보는 사람 급증 - 매일경제
- “이러다 정말 서울 되려나?”…김포 집주인들 매물 거둬들인다 - 매일경제
- 구광모 회장의 ‘LG 우승 턱’ 드디어 쏜다…“TV 29%, 화장품 71% 할인” - 매일경제
- 테슬라, 회심의 일격 맞았네...전기차값 낮출 파트너 뺏겨 - 매일경제
- 내년 GTX 등 철도 17곳 뚫린다 … 집값도 달릴까 - 매일경제
- 美 언론 호평 이정후, 신분조회 요청...MLB행 공식 행보 시작!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