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워] 의대 증원에 관한 한 의사의 고백

송민섭 2023. 11. 15. 2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긴급소집된 의관 대표 회의는 성토와 우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게다가 예조는 "의생 증원 여부는 의관들과만 협의하겠다"는 무술년(2018년) 합의를 깨고 현장 상황, 의관 고충을 전혀 아랑곳 않는 서생·상놈들과도 논의하겠다고 한다.

의생들 숫자만 늘리면 '만병통치약'처럼 작금의 외과적 시술이나 산모 해산 분야, 삼남지역 활동 의관 부족 사태 등이 해결될 것처럼 호도하는 육조의 빈약한 논리를 파고들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필수·지역 의료진에 대한 보상·예우 병행돼야

긴급소집된 의관 대표 회의는 성토와 우려의 목소리로 가득했다. 예조참판이 지난 정월 “내년 사월까진 늘릴 의생 숫자를 정하겠다”고 공언할 때만 해도 한 벼슬아치의 호기라고 치부했다. 그런데 지난 달 한양 강서현감 선거 이후 용산궁 분위기가 급변했다. 주상(主上)이 직접 의관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하더니 만인지상(萬人之上)마저 “심대한 위협” 운운하며 의생을 늘려야 한다고 설파하기 시작했다.

대표회의에선 “우리가 임인년(2022년) 역성혁명 때 힘을 보탠 게 얼마인데”라는 성토와 “이참에 의관들의 본때를 보여줍시다”라는 결기가 주를 이뤘다. 주상이 대사헌(大司憲) 출신인 까닭에 상왕(上王) 때처럼 실력행사에 나섰다가는 자칫 사정(司正) 등 우리에게 화가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물론 “의관들이 충분하다고 말하는 자는 우리뿐”이라며 “곤궁한 처지의 민초들을 외면해선 안 된다”는 자성론도 있긴 했다.
송민섭 사회부 선임기자
주상의 하명 전후 신료들은 뱀처럼 교활하면서도 전광석화(電光石火)처럼 움직이고 있다. 예조는 혜민서(惠民署)를 상대로 증원해야 할 의생 수를 보고하도록 한 데 이어 사간원(司諫院)에 그 규모가 4000명에 육박한다는 수요조사 결과를 흘리고 있다. 정확히 경진년(2000년) 의약분업대첩 이후 우리가 양보를 받은 351명 감원에 따른 동결 정원(3058명)의 1.3배이다. 게다가 예조는 “의생 증원 여부는 의관들과만 협의하겠다”는 무술년(2018년) 합의를 깨고 현장 상황, 의관 고충을 전혀 아랑곳 않는 서생·상놈들과도 논의하겠다고 한다.

당장이라도 의원 문을 닫고 용산궁, 육조거리 앞에서 상투 풀어헤치고 농성이라도 해야 할 판이다. 그렇지만 여론이 좋지 않다. 지난 몇 해간 팔도를 휩쓴 돌림병과 부쩍 늘어난 고령 환자들, 진료받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는 삼남지역 백성들 아우성 등으로 의관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예전 같지는 않다. 백성들 사이에서 의관 수는 구라파 어느 나라의 2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벌이’는 평민의 7배라는 낭설까지 나도는 상황이다. 게다가 갑진년(2024년) 4월 큰 정치 일정을 앞둔 주상이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우리네 집단행동을 ‘희생양’ 삼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나라 부차는 아버지 원수를 갚기 위해 날마다 장작더미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았다고 했다. 그렇다고 마냥 움츠리고 있을 일만은 아니다. 의생들 숫자만 늘리면 ‘만병통치약’처럼 작금의 외과적 시술이나 산모 해산 분야, 삼남지역 활동 의관 부족 사태 등이 해결될 것처럼 호도하는 육조의 빈약한 논리를 파고들어야 한다. 다시 곰곰이 생각해 봐도 작금의 사태는 의관 수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촌각을 다투는 환자들을 적재적소에서 치료해야 할 혜민서 소속 의관들이 턱없이 적어서 생긴 문제다. 지금 당장 도성·마을 거리를 수십보만 걸어도 계속 맞닥뜨리는 게 의원 간판이다.

이번 공백 사태 해결의 단초는 의관 증원이 아닌 배분에 있다. 생사를 넘나드는 환자를 대하는 혜민서 의관들부터 늘려야 하고 그 노고에 걸맞은 보상과 예우가 뒷받침돼야 한다. 우리 역시 온나라 백성들이 무병장수하길 바라는 측은지심(惻隱之心)에서 이 업(業)에 뛰어들었다. 분야별 녹봉 차등지급 이외 별다른 대책이 없던 군신들이 이제 와서 일가친척을 허망하게 보낸 백성들 울분을 불쏘시개 삼아 우리를 공격하고 있다. 앞에선 공공재(公共財)라고 추켜세우고 뒤에선 ‘짬짜미 철밥통’이라고 손가락질하는 족속에 대한 우리의 응전은 무엇이 될지 현명하게 판단하길 바란다.

송민섭 사회부 선임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