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고용·임금체계 개편…반드시 함께 풀어 나가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국민연금 수급 연령 연장과 맞물려 법정 정년 연장이 화두가 되면서 경영계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이 먼저"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행 호봉제를 유지한 정년 연장은 지속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청년 일자리를 빼앗고 산업현장의 혼란만 가중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하지만 정년 연장은 반드시 임금체계 개편과 함께 풀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시 정부는 정년 연장으로 인한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임금피크제'와 '직무·성과급제'를 정책적으로 확산시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민연금 수급 연령 연장과 맞물려 법정 정년 연장이 화두가 되면서 경영계를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이 먼저”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행 호봉제를 유지한 정년 연장은 지속 가능하지 않을뿐더러 청년 일자리를 빼앗고 산업현장의 혼란만 가중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15일 노동계에 따르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기 위한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고령자고용법 및 관련 법률 개정 청원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회부돼 있다. 한국노총은 지난 9월 국민동의 청원의 국회 상임위 회부 기준인 5만 명 이상 국민 서명을 받았다. 현대자동차 노조도 같은 달 임단협에서 ‘정년 연장’을 전례 없이 강하게 주장하며 파업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정년 연장은 반드시 임금체계 개편과 함께 풀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2013년 법 개정을 통해 법정 정년을 2016년부터 58세에서 60세로 연장했다. 당시 정부는 정년 연장으로 인한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임금피크제’와 ‘직무·성과급제’를 정책적으로 확산시켰다. 하지만 제도화하지는 못하고 노사에 자율 결정 사안으로 떠넘겼다. 지난해 대법원에서 “삭감 폭이 큰 임금피크제는 무효”라는 판단이 나오면서 정부 정책에 따라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들이 대거 소송에 휘말리는 등 혼란이 야기됐다.
성과연봉제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2016년 ‘임금체계 개편의 마중물’로 삼겠다며 도입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도 친노동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지지부진해졌다.
청년층은 직무급제 도입을 지지하고 있다. 고용부 의뢰로 한양대 산학협력단이 지난해 만 15~34세 구직 청년 700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청년의 일자리에 대한 인식조사’에 따르면 “신입사원과 같은 일을 하는데도 오래 근무한 사람의 급여가 높은 것은 불공정하다”는 질문에 전체의 61.1%가 그렇다(매우 그렇다 13.8%, 약간 그렇다 47.3%)고 답했다. 연구진은 “공정성에 큰 가치를 부여하는 청년층은 근무 기간이 길다는 이유로 연봉이 더 높은 호봉제를 불공정의 대표적인 사례로 인식한다”고 분석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랜저나 카니발 보러 많이 오는데…" 중고차 판매원 탄식 [현장+]
- 6개월 만에 80억 벌고 연락 '뚝'…전세사기범들 딱 걸렸다
- "누런 가래 나온다면 의심해야"…암보다 무서운 '이 질병'
- 등산 후 고열·팔엔 검은 딱지…병원 갔더니 '깜짝' [건강!톡]
- '쿠팡 긴장하라'…中 알리바바가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 남현희 분노의 SNS…"싸가지 없는 거 봐라? 나 아니다"
- 담 넘어 30분간 일탈 즐긴 푸바오…'외출 금지' 당했다
- 홍진경 "김치서 이물질 나왔다며 금전 협박" 토로
- '우표 수집가의 성배' 24센트짜리 美 우표, 경매서 26억원 낙찰
- LG트윈스 우승에…"신문 4부 20만원" 금값 된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