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兆 시총이 단 하나의 상장사로 귀결”…카카오, 구글에서 배우는 교훈 [투자360]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다양해진 사업부가 카카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달 한 국내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는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카카오의 목표주가를 내리며 이같이 평가했다. 계열사들의 실적 부진과 시장 상황 악화로 “개선 방향이 흐릿해졌다”는 진단이다. 여기에 사법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자회사 기업공개(IPO) 추진에도 제동이 걸렸다. 투자업계에선 “무리한 쪼개기 상장이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전문가는 2015년 구글이 ‘알파벳’ 지주사로 전환해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역량을 집중한 것처럼 카카오도 현 시점에선 무리한 자회사 상장보다는 “시장 신뢰회복이 급선무”라고 진단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하 카카오엔터),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재팬 등 주력 비상장사 3곳의 IPO 추진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초 카카오엔터가 SM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시세를 조종한 혐의가 포착되면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매출 인식을 둘러싼 분식회계 논란에도 휩싸인 상태다. 시장에선 IPO가 무기한으로 연기되면 투자자들이 카카오와 주요 계열사를 상대로 원금을 돌려받기 위한 분쟁에 돌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증권가에선 카카오의 자회사 상장을 두고 우려와 기대가 항상 공존했다. 핵심 사업 자회사가 상장을 추진하면 기업가치가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과 중복 상장하면 카카오의 기업가치를 훼손하고 기존 주주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우려가 팽팽히 맞섰다. 알짜 사업부를 빼내 따로 상장하면 기존 회사 주주들은 ‘앙금 없는 찐빵’을 든 상황에 처하고, 주식 평가가치도 뚝 떨어질 수 있어서다. 현재 상장된 카카오의 계열사는 총 5곳(카카오·카카오게임즈·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넵튠)이다.
이민환 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는 “위기는 약한 고리에서 터진다. 최근 잇달은 악재가 터지면서 그간 쪼개기 상장, 문어발식 확장을 해오던 카카오도 한계에 부딪힌 상태”라며 “미국 등 자본시장 선진국에선 소액 주주 집단소송 같은 제도 때문에 자회사를 상장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는 구글이 유튜브를 상장하지 않는 이유”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카카오가 컨트롤타워 재정비를 예고하자 구글만큼의 혁신적인 결단이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2015년 구글은 지주사인 알파벳을 설립하면서 알파벳의 100% 자회사가 됐다. 당시 인터넷 검색 위주의 사업을 하던 구글이 거느리기엔 거리가 먼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사업부가 늘어나자 8개 회사를 총괄 감독하는 모회사(알파벳)를 만든 것이다. 당시 래리 페이지는 알파벳의 최우선 과제 7가지 중 하나로 “구글이 하는 일에 대한 투명성과 감시 능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당시 미국 증시에 상장됐던 구글 주식은 알파벳 주식으로 대체됐다. 구글과 관련된 모든 사업의 역량이 ‘알파벳’ 종목 한 곳에 집중되면서 주가도 가파르게 끌어올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알파벳 주식은 주주 의결권 유무 등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뉠 뿐이다. 이후 2020년 1월 알파벳은 미국 주식시장에서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역사상 네 번째로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했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알파벳의 밸류에이션은 2023년 24.6배, 2024년 20.1배까지 상승하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달리, 카카오는 잇따른 쪼개기 상장으로 기업가치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DS투자증권은 “추가 상장 수요가 높은 자회사의 상장 제동과 함께 글로벌 확장 전략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자회사 가치에 적용되는 할인율 확대가 불가피한 상태”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8만원에서 5만4000원으로 30% 넘게 내렸다. 이달 들어 이베스트투자증권(7만5000→6만6000원), 미래에셋증권(7만5000→5만8000원) 등도 일제히 목표주가를 하향했다.
전문가는 현 체제에서 카카오가 지주사를 설립하는 시나리오는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확실한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자회사 IPO 추진도 재검토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외여건상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주사 전환은 IPO를 하는 과정에서 받은 투자금을 갚기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이라며 “카카오는 향후 자회사를 상장하는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국내 증시도 결국 미국처럼 ‘이중상장’ 문제가 없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forest@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재산 사기 이수영 "결혼 전 빚 공개하니, 남편 연락두절"
- 블래핑크 제니,한남동 빌라 50억에 매입…전액 현금 지불한듯
- "남현희, 본인 명의 알려지기 전 벤틀리 매각 시도"
- ‘男37세·女19세’ 결혼에 日발칵…“어린이 프로그램서 처음 만나”
- 매형 김민준도 나섰다…지드래곤 공개 응원
- 故설리 눈물 “예쁜 내가 싫었다…‘최상 상품돼라’ 가장 많이 들은 말”
- “이선균 다리털 모자랐나”…국과수 ‘감정불가’ 판정에 경찰 진땀
- 채리나 'LG 작전코치' 남편 박용근 우승 축하…"보너스 다 내 거야"
- "50만원 다이슨 드라이기, AS는 왜 이래?" 소비자 불만 급증
- 류준열과 결별 혜리 "카톡 한 개도 안 올 때도"…과거 발언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