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대명사 30대 청년들, 지방 집값도 끌어 올리나…40대 제치고 큰손 등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전국에서 아파트를 매입한 30대의 거래 비율이 처음으로 40대를 추월했다.
전국 아파트 1∼9월 거래에서 30대 매입 비율이 40대를 넘어선 것은 정부가 연령대별 거래 현황을 공개한 2019년 1월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 동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율은 30대가 22.4%, 40대가 24.0%로 40대가 더 컸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30대의 매입 비율은 22.4%, 40대는 24.1%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선호 현상 두드러져
15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전국 아파트 거래 신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매매거래 총 31만6603건 가운데 30대가 사들인 건수는 8만5701건으로 전체의 27.1%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큰 손이었던 40대의 매입 비율(25.9%·8만2천77건)을 웃도는 전체 연령대별 거래량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전국 아파트 1∼9월 거래에서 30대 매입 비율이 40대를 넘어선 것은 정부가 연령대별 거래 현황을 공개한 2019년 1월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 동기 전국 아파트 거래 비율은 30대가 22.4%, 40대가 24.0%로 40대가 더 컸다.
연간 거래량으로도 2019년 이후 매년 40대 거래 비율이 컸다. 그러나, 올해 들어 처음 30대가 역전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30대의 매입 비율은 22.4%, 40대는 24.1%였다.
30대의 아파트 매입 열풍은 서울에서 촉발돼 점차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서울 아파트의 30대 매입 비율은 2019년 연간 28.8%로 40대(28.7%)를 근소한 차이로 앞서다가 집값이 급등한 2021년에는 30대(36.4%)와 40대(26.4%)의 격차가 10%포인트나 벌어지기도 했다.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는 30대 고학력 도시 근로자들의 소득 증가와 아파트 선호 현상이 꼽힌다. 여기에 아파트값 상승기에 청약가점제 물량 확대 등 청약 규제 강화로 30대의 아파트 당첨이 어렵게 되자 일반 매매 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린 영향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30대(28.3%)와 40대(23.6%)의 격차는 지난해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으로 4.7%포인트로 줄었다. 그러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다시 4.9%포인트(30대 33.5%, 40대 28.6%)로 소폭 확대됐다.
경기도는 2020년까지 40대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2021년부터 역전돼 30대와 40대의 격차가 지난해 3.4%포인트(30대 27.3%, 40대 23.9%)에서, 올해는 1∼9월까지의 격차가 4.3%포인트(30대 30.3%, 40대 26.0%)로 커졌다.
광역시 가운데 부산과 대구 등은 2023년 들어 30대 매입 비중이 작년보다 커졌고, 대전은 2022년 40대 비중이 30대보다 컸으나 올해는 근소한 차이로 30대가 앞섰다.
지방에서는 제주도가 지난해까지 40대 매입 비중이 가장 컸지만, 올해 들어 처음으로 30대(28.7%) 매입 비중이 40대(26.8%)를 추월했다. 경북·경남·충남·충북·강원 등지는 올해도 40대 비중이 30대보다 컸으나 그 격차는 작년보다 축소됐다.
30대의 주택 구매력은 아파트와 단독·연립 등을 포함한 주택 전체 시장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1∼9월 전국 주택의 30대 매입 비율은 23.3%로 50대(22.6%)보다 컸다. 40대(23.8%)와의 격차도 0.5%포인트로 작년(2.9%포인트) 대비 줄었다.
서울 주택은 2020년부터 30대 매입 비율이 40대보다 컸다.
시장 전문가들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한 대출 혜택과 전세사기 여파로 청년층의 아파트 선호 현상이 확대되며 주택시장에서 30대의 영향력은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소득이 높은 수도권은 물론, 지방도 점차 30대의 주택 매수가 늘면서 주택 거래량과 가격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정부와 주택 사업자들도 이에 맞는 정책과 사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여보, 이번엔 진짜 차 바꿔야해”…25년만에 나온 ‘아빠들의 로망’ [시승기] - 매일경제
- “망했다” 집에서 빈대 나왔다면…살충제보단 ‘이것’ 해야 효과적 - 매일경제
- 29세 직장인, ‘전국 빈대 현황판’ 만들었다…최다 출몰 지역은 - 매일경제
- “라면 몸에 안좋아” 잔소리하던 엄마…박스째로 사들고 온 이유는 - 매일경제
- 125억 ‘체납왕’이 사는 동네는…체납자 9728명 명단 공개 - 매일경제
- [단독] “로또라더니 버려?”…반값아파트 당첨자 셋 중 한명은 포기 왜 - 매일경제
- “완전 뜻밖이네”…‘중국판 블프’ 광군제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은 - 매일경제
- 불황은 불황이네...롤렉스 명품시계 중고가격도 42% ‘뚝’ - 매일경제
- [단독] “떼돈줘도 중국엔 안팝니다”…해외직구 차단하는 업체들 무슨 일? - 매일경제
- ‘3골 1도움 폭발’ 황희찬, 울버햄튼 10월 이달의 선수 등극! [공식발표]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