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공공서비스 하나에 4억5천만원…비용 줄이는 '프레임워크' 나온다

박현영 기자 2023. 11. 15. 15: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ISA, 블록체인 신뢰 프레임워크(K-BTF) 개발
비용 절감·개발 편의성 개선에 초점…서비스 간 데이터 연동 가능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구축하는 블록체인 신뢰 프레임워크(K-BTF).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기반 공공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수 있는 이용 체계 '블록체인 신뢰 프레임워크(K-BTF)'를 구축한다.

KISA는 지난 2018년부터 블록체인 시범사업 100여개를 진행하며 서비스 구축 때마다 지나치게 큰 비용이 드는데다, 서비스 간 상호호환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초점을 맞췄다. 이에 개발 편의성을 높이고 서비스 간 데이터 연동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15일 이강효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선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 주최한 '2023 블록체인 진흥주간' 행사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KISA는 지난 1018년부터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매년 선정해 지금까지 100여개 사업을 진행했다. 서비스 하나를 구축하는 데 통상 4억5000여만원이 들었지만, 활성화된 서비스는 극히 적었다.

비용이 커진 데에는 개발 편의성이 부족한 탓이 컸다. 이강효 선임은 "(블록체인 공공 서비스 개발 시) 블록체인 플랫폼도 구축해야 하고, 서비스도 개발해야 하며, 정부 레거시 시스템과도 연결해야 한다"며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개발 API를 규격화하는 추세라, 이런 장점을 가져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또 그간 블록체인 기반 공공 서비스들은 사용자경험(UX)도 부족했다. 사용자들이 정부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계속 지갑 등 애플리케이션을 따로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이에 KISA는 △비용 절감 △개발 편의성 △사용성 등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춰 K-BTF를 구축하기로 했다. 개발을 위한 인터페이스부터, 서비스, 보안까지 민간 영역을 최대한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전체적인 이용 체계를 구축하는 게 특징이다.

K-BTF가 구축되면 수요기관, 즉 블록체인 기반 공공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정부 기관은 탈중앙화신원인증(DID), 대체불가능토큰(NFT) 등 블록체인 서비스를 간편하게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다. 비용은 기존 개발 비용 4억5000여만원을 지불할 필요 없이, 서비스 사용 건수에 따라 지불하면 된다.

이강효 선임은 "공공기관은 담당자가 바뀔 수 있다는 게 특징"이라며 "K-BTF 하에서 서비스를 구축하면 담당자가 바뀌어도 사업 또는 서비스 유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수요기관이 좀 더 기획에만 집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개발을 이전보다 편리하게 하더라도, 서비스에 어느 정도 기준은 뒀다. 이 선임은 "구축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서로 다르더라도 어느 정도는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끔 기능, 성능, 보안 면에서 요구사항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시험검증체계도 구축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등 현행 인증 제도를 최대한 활용해 서비스 보안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사용성도 디지털지갑 하나만 설치해도 될 정도로 크게 개선하기로 했다. 이 선임은 "사용자인 국민 입장에서는 디지털지갑 하나에 공공 데이터를 다 넣을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디지털 신분증, 각종 증명서를 지갑 하나에 넣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KISA는 K-BTF를 내년부터 준비해 선보일 예정이다. 정부분과(수요기관), 민간기업, 전문가로 구성된 K-BTF 거버넌스도 구축해 '핵심 서비스' 선정 등 관련 의사결정도 함께 내릴 계획이다.

이미 K-BTF를 활용할 6대 핵심 서비스가 선정되기도 했다. 이 선임은 "2021~22년 진행한 34개 시범사업과 해외 주요 6개국의 국가 블록체인 사업을 분석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NFT △DID △데이터 진본확인 △데이터 이력 추적 △BaaS(Blockchain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로서의 블록체인) △디지털 지갑 등이다.

이 선임은 "현행 규제와 기술 범위 내에서 공공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도출하는 게 K-BTF의 미션"이라며 "수요기관, 공급기관, 사용자 모두가 만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yun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