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일자리가 없다”, ‘쉬었음’ 청년 올해만 2.3만명↑…정부 노동시장 유입 촉진에 1조 투입
2년 전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신지영씨(26세)는 졸업과 동시에 취업에 성공했지만, 올 초 퇴사한 뒤 다시 일을 하지 않고 있다. 퇴사 후 얼마간 쉰 뒤 다시 취업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재취업이 뜻대로 되지 않자 요즘은 구직 활동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신씨는 “합격해서 출근하라는 곳도 있었지만 마지막에 포기한 곳도 있다”며 “불안해도 이전 회사에서 너무 힘들어서 아무 곳이나 들어가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크다”고 말했다.
신씨처럼 일을 하지 않으면서 구직 활동도 않는 ‘쉬었음’ 청년이 빠르게 늘고 있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활동 자체를 포기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번아웃 현상’(정신적·육체적으로 지쳐 의욕 등이 소진)으로 재취업을 미루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특히 올해는 여성, 20대 초반, 대졸 이상에서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고 있는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증가하는 ‘쉬었음’ 청년들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에 따르면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쉬었음’ 청년(15~29세)의 규모는 2016년 26만9000명 수준이었지만 이후 급증해 코로나19 때던 2020년에는 44만80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코로나19가 완화되면서 ‘쉬었음’은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올해 1~9월은 월평균 41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3000명이 늘었다. 이는 전체 청년 인구의 4.9%며 청년 비경제활동인구 기준으로는 9.8%에 달한다.
전통적으로 ‘쉬었음’ 청년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20대 후반, 고졸이하의 비중이 높았지만, 올해 늘어난 쉬었음 청년의 경우 여성(1만9000명), 20대 초반(1만6000명), 대졸 이상(2만8000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청년들의 ‘쉬었음’ 사유로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이 32.5%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27.8%)보다 4.7%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이어 ‘다음일 준비를 위해’(23.9%)가 뒤를 이었다.
정부는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임금이 50%를 밑도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수시·경력 채용 확대로 사회 초년생들의 괜찮은 일자리 기회가 축소된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대학졸업생의 첫 취업 소요기간은 2020년 7.2개월에서 2021년 7.7개월, 2022년 7.8개월, 2023년 8.2개월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기재부는 “청년들의 경우 원하는 일자리 취업 실패시 하향 취업보다 구직연장 또는 쉬었음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평생직장 개념이 흐릿해지면서 퇴직과 재취업에 대한 거부감이 적어지고, 코로나19 시기 확대됐던 단기 일자리가 축소된 것도 ‘쉬었음’ 청년이 늘어나는데 영향을 미쳤다.
다만 ‘쉬었음’ 청년의 절반 이상인 65.1%가 1년 이내 구직의사가 있고, 66.4%는 구체적인 구직계획도 보유하고 있었다. 일 자체를 안하겠다는 것은아니고 맞는 일자리만 있다면 언제든 일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들 ‘쉬었음’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유입될 수 있도록 지난 7~10월까지 청년들을 상대로 심층 실태조사를 실시, 이들의 유형별 특성을 체계화해 1조원대의 단계별 지원 방안을 이날 발표했다.
우선 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이 쉬었음 과정을 겪지 않고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재학생을 위한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본격 도입하기로 했다. 내년에 389억원을 투입해 올해 12개 대학에서 시범 운영한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내년에는 50개교로 확대한다.
노동시장에 뛰어든 사회 초년생이 직장에 잘 적응해 중도 이탈하지 않도록 신입사원의 직장 적응을 돕는 ‘온보딩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청년이 선호하는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는 직장문화를 만들기 위해 유연근무제와 근로시간 단축지원 사업을 신설해 1인당 30만원의 장려금을 최대 1년간 지원할 계획이다.
구직단념 예방을 위해 쉬는 청년들이 구직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지자체와 함께 가칭 ‘청년성장프로젝트’를 도입해 운영하고, 취업하지 않는 청년이 일상을 유지하도록 각종 모임 활동이나 심리상담도 제공한다. 아울러 고립은둔청년처럼 취약청년들을 대상으로는 사회복귀·재적응을 위해 마음회복, 사회관계 형성 등 사례별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기의 추석 선물’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재명 ‘선거법 위반’ 판결문
- 조국 “민주주의 논쟁에 허위 있을 수도···정치생명 끊을 일인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사설] 이재명 선거법 1심 ‘당선 무효형’, 현실이 된 야당의 사법리스크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드라마인가, 공연인가…안방의 눈과 귀 사로잡은 ‘정년이’
- 중학생 시절 축구부 후배 다치게 했다가···성인 돼 형사처벌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