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는 말한다] ‘배터리 여권’ 도입…폐배터리 관리체계 만든다

민정희 2023. 11. 15. 12: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동안 전기차 등에서 사용한 뒤 분리한 폐배터리가 재활용되지 않아 오히려 환경에 해가 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습니다.

골칫거리인 이 폐배터리, 제대로 처리하면 오히려 핵심 광물을 확보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데요.

배터리 업계가 관리시스템 방안을 만들어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민정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기차에서 사용한 뒤 수명이 다해 분리한 배터리,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면서 오는 2030년이면 42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제는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오염과 안전에 관한 우려입니다.

하지만 처리만 제대로 한다면 폐배터리의 활용 가치는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42만 개의 배터리를 모두 재활용할 경우, 전기차 약 17만 대 분의 핵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리튬이나 니켈 같은 희귀 광물을 추출해 국내에서 자체 조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겁니다.

[김필수/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 : "대한민국이 고부가가치 배터리 원료가 거의 없잖아요. 배터리 원료를 전체 중에서 일부를 자급자족할 수 있는 사이클(순환)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이 때문에 배터리 업계가 모여 새로운 관리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우선 명칭부터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사용 후 배터리'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이른바 '배터리 여권'이라는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도 만들기로 했습니다.

거래되는 모든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점검 결과를 등록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겁니다.

또 사업자를 3단계로 나눠 각 단계마다 참여할 수 있는 자격 요건도 정하기로 했습니다.

[장영진/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장기적으로는 우리 산업 발전에 있어서 사용 후 재료들, 이런 부분들을 원활하게 수집하고 가공하고 유통하는 것이 기후위기 시대의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국회 논의 등을 거쳐 관리 체계를 법제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민정희입니다.

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민정희 기자 (jj@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