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많을수록 주가수익률 하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투자자들이 온실가스 감축 비용을 투자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간한 금융감독연구에 실린 '기업의 탄소배출과 주가수익률간 관계에 관한 연구'(윤양인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이준호·황재학 금감원 수석조사역 공저)에 따르면 탄소배출권을 유상할당하기 시작한 2차 계획기간(2018~2020년)에 탄소 배출량이 많을수록 주가 수익률이 하락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출권 유상할당시 주식시장 영향
탄소→그린 프리미엄 방향성 변화
기업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투자자들이 온실가스 감축 비용을 투자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배출권 유상할당이 이뤄지면서 탄소배출량이 기업의 주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력이 변화했다는 연구가 나왔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간한 금융감독연구에 실린 ‘기업의 탄소배출과 주가수익률간 관계에 관한 연구’(윤양인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이준호·황재학 금감원 수석조사역 공저)에 따르면 탄소배출권을 유상할당하기 시작한 2차 계획기간(2018~2020년)에 탄소 배출량이 많을수록 주가 수익률이 하락했다. 전면 무상할당했던 1차 계획기간(2015~2017년)에는 탄소 배출량이 많을수록 주가 수익률이 더 높았다.
1차 계획 기간에는 국내 기업의 주가수익률은 매출액 대비 배출량 혹은 당기순이익 대비 배출량이 증가하면 함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차 계획 기간에는 매출액과 당기순이익 대비 배출량이 감소했을 때 주가 수익률이 상승했다. 다만, 2차 계획기간만의 데이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보고서의 주저자인 윤양인 교수는 “2018년 이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존재한 것을 감안하면 정부의 ‘2030 온실가스 감축로드맵 수정안’이 2018년 7월 확정된 이후에야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비용에 따른 부담을 투자자들이 인식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연구진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탄소 프리미엄’에서 ‘그린 프리미엄’으로 방향성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했다. 탄소 프리미엄이란 투자자들이 탄소 배출을 위험 요인으로 인식하면서 추가적인 수익률을 요구한다는 주장이다. 그린 프리미엄은 저탄소 배출 기업의 경쟁력이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아 초과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이다.
금융회사와 투자자들에 대해선 탄소 배출 수준이 높은 업종을 선별해 위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근 들어 탄소배출과 주가수익률 간 관계가 변화를 보이고 있고, 탄소배출 수준이 높은 업종일수록 민감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3차 계획기간(2021~2025) 유상할당 비중이 10%로 증가하고 배출허용 총량이 최초로 감축하면서 주가수익률에 대한 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주식시장 참가자들은 재무성과와 탄소배출 수준을 연계해 의사를 결정하는데, 무상할당 배출권 감소 시 탄소배출권 가격이 높아지며 재무성과에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당기순이익 대비 탄소 배출량 지표가 가장 크게 움직이며 주가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탄소배출권 가격은 9월 1만원선을 하회하며 9월 고점을 찍은 뒤 크게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무상할당 비율 축소 등 제도가 개선됨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국내 배출권 거래제는 글로벌 배출권 거래제와 비교 시 높은 무상할당 비율, 폐쇄적인 참여자 구조, 이월 한도 제한 등으로 가격 왜곡이 발생하고 시장으로서의 역할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KAU22는 60% 이상 가격이 하락해 기업 입장에서 중장기적인 배출권 및 탄소중립 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무상할당 비율 축소, 이월 한도 제한 기준 완화, 할당 배출권 축소 등의 요인을 종합해 보면 국내 배출권 가격은 중장기적으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권제인 기자
eyr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재산 사기 이수영 "결혼 전 빚 공개하니, 남편 연락두절"
- 故설리 눈물 “예쁜 내가 싫었다…‘최상 상품돼라’ 가장 많이 들은 말”
- "남현희, 본인 명의 알려지기 전 벤틀리 매각 시도"
- 채리나 'LG 작전코치' 남편 박용근 우승 축하…"보너스 다 내 거야"
- 블래핑크 제니,한남동 빌라 50억에 매입…전액 현금 지불한듯
- 류준열과 결별 혜리 "카톡 한 개도 안 올 때도"…과거 발언 재조명
- ‘男37세·女19세’ 결혼에 日발칵…“어린이 프로그램서 처음 만나”
- 조인성, 또 선행…탄자니아 아이들 위해 아름다운예술인상 상금 기부
- “이선균 다리털 모자랐나”…국과수 ‘감정불가’ 판정에 경찰 진땀
- “우승 두시간전” 유광점퍼 입고 LG우승 ‘직관’한 일타강사 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