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3개월째 확대…청년층·제조업은 또 감소(종합)
공지유 2023. 11. 15. 1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4만6000명 늘면서 3개월째 증가 폭을 늘렸다.
취업자 수는 8월(26만8000명)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증가폭이 확대됐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수요 증가와 일상 회복 영향이 지속됐고, 정보통신 분야의 견조한 증가세에 힘입어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전월에 비해 확대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수는 126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8000명 증가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년 취업자 1년·제조업 10개월째 감소세
도소매업 취업자 4년 5개월 만에 증가 전환
30대 여성 취업자, 17년 만에 최대폭 증가
◇10월 취업자 34.6만명↑…제조업은 10개월째 감소세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76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만6000명 증가 했다. 취업자 수는 8월(26만8000명)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증가폭은 5월(35만1000명) 이후 최대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수요 증가와 일상 회복 영향이 지속됐고, 정보통신 분야의 견조한 증가세에 힘입어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전월에 비해 확대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3만6000명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그 다음으로 30대에서 11만명, 50대에서 5만1000명 늘었다. 20에에서는 7만6000명, 40대에서 6만9000명 각각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8만2000명 감소했다. 청년층은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월간 기준 1년째 취업자가 감소세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7만7000명 감소해 10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13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서 국장은 “제조업은 업종별 영향이 있는데 자동차는 지속적으로 늘고, 전자부품과 기계 및 금속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매 및 소매업의 경우 취업자가 1년 전보다 1만1000명 늘었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019년 5월 이후 지속 감소하다가 4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 전환했다. 증가폭은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최대다. 9월 면세점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3.8% 증가했고, 백화점 소매판매도 8월(-4.1%)보다 9월(-1.3%)에 감소폭이 축소되는 등 면세점 판매 개선세에 힘입었다는 분석이다.
30대 여성 취업자, 17년 5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올랐다. 이는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같은 달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전년 동월보다 0.8%포인트 오른 69.7%로 집계됐다. 1989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같은 달 기준 최고치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확대되면서 여성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증가했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수는 126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8000명 증가했다. 특히 30대 여성 취업자수가 11만4000명 증가하면서 2006년 5월(11만9000명) 이후 최대폭으로 늘어났다.
청년 ‘쉬었음’ 인구도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 쉬었음 인구는 36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00명 줄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청년 쉬었음 인구 평균은 41만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9%를 차지했다.
정부는 이날 ‘쉬었음’ 청년을 노동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약 1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고등학생 대상 맞춤형 고용서비스, 직장인 대상 온보딩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정책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김시동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노동시장 밖에 머무는 청년을 위한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수출과 투자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회복 노력 등 민간 중심의 양질이 일자리 창출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지유 (noticed@edaily.co.kr)
도소매업 취업자 4년 5개월 만에 증가 전환
30대 여성 취업자, 17년 만에 최대폭 증가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이지은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4만6000명 늘면서 3개월째 증가 폭을 늘렸다. 다만 제조업 취업자는 10개월 연속 감소하고 청년층도 1년째 취업자가 줄었다.
◇10월 취업자 34.6만명↑…제조업은 10개월째 감소세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76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만6000명 증가 했다. 취업자 수는 8월(26만8000명)부터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증가폭이 확대됐다. 지난달 증가폭은 5월(35만1000명) 이후 최대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수요 증가와 일상 회복 영향이 지속됐고, 정보통신 분야의 견조한 증가세에 힘입어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전월에 비해 확대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3만6000명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그 다음으로 30대에서 11만명, 50대에서 5만1000명 늘었다. 20에에서는 7만6000명, 40대에서 6만9000명 각각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는 8만2000명 감소했다. 청년층은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지난해 11월부터 월간 기준 1년째 취업자가 감소세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 수가 7만7000명 감소해 10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됐다. 2020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13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처음이다. 서 국장은 “제조업은 업종별 영향이 있는데 자동차는 지속적으로 늘고, 전자부품과 기계 및 금속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매 및 소매업의 경우 취업자가 1년 전보다 1만1000명 늘었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019년 5월 이후 지속 감소하다가 4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 전환했다. 증가폭은 2017년 11월(4만6000명) 이후 최대다. 9월 면세점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3.8% 증가했고, 백화점 소매판매도 8월(-4.1%)보다 9월(-1.3%)에 감소폭이 축소되는 등 면세점 판매 개선세에 힘입었다는 분석이다.
30대 여성 취업자, 17년 5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올랐다. 이는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같은 달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전년 동월보다 0.8%포인트 오른 69.7%로 집계됐다. 1989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같은 달 기준 최고치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확대되면서 여성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증가했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수는 126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8000명 증가했다. 특히 30대 여성 취업자수가 11만4000명 증가하면서 2006년 5월(11만9000명) 이후 최대폭으로 늘어났다.
청년 ‘쉬었음’ 인구도 2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 쉬었음 인구는 36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00명 줄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청년 쉬었음 인구 평균은 41만명으로 전체 청년 인구의 4.9%를 차지했다.
정부는 이날 ‘쉬었음’ 청년을 노동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약 1조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발표했다. 고등학생 대상 맞춤형 고용서비스, 직장인 대상 온보딩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정책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김시동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은 “노동시장 밖에 머무는 청년을 위한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수출과 투자 활성화를 통한 경제활력 회복 노력 등 민간 중심의 양질이 일자리 창출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지유 (noticed@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데일리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고양이 시끄러워” 비비탄 쏘자, 캣맘 “정신적 피해보상 하라”
- 푸바오 탈출 소동...당근에 꿈쩍도 안 해, 외출 금지 처분
- 두 자녀 출산 직후 살해한 30대…“둘째는 주스 먹였더니 사망”
- 변기 위서 양반다리 한 美의사 영상 화제...“변비에 최고”
- 에어비앤비 ‘탈세의 온상’ 비난에…“사실 아니다”
- “브레이크 밟았는데”…강남서 지하 벽 뚫고 나간 전기차, 무슨 일
- LG트윈스 우승…'신문 4부 20만원' 당근서 웃돈 거래
- "죽이 될지 밥이 될지"...이선균·지드래곤, '다리털' 모자라?
- 홍진경 "김치 사업? 돈 보내라 협박 多…난소암 항암 6번"
- ‘빅리거 즐비’ 한국 만나는 싱가포르 “정말 어려울 것... 우리 역량 100% 발휘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