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OTT 구독료 줄인상…'스트림플레이션'에 디지털 요금까지?

노동규 기자 2023. 11. 15. 09: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친절한 경제, 오늘(15일)은 경제부 노동규 기자와 함께합니다. 노 기자, 어서 오세요. 꽤 익숙한 애플리케이션이네요. 공통점이 있겠죠?

<기자>

정윤식 앵커도 몇 개 보실 거 같은데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른바 OTT 업체들입니다.

어제, 그제 이 시간에서 인플레이션 관련한 신조어들을 소개해 드린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늘도 하나 더해야 될 것 같습니다.

바로 '스트림플레이션'입니다. 스트리밍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인데, 입는 거, 먹는 거, 자는 것까지 어느 것 하나 가격이 제자리인 게 없는 요즘이라지만, 특히 여기 보신 OTT업체들도 구독료를 가파르게 올리고 있거든요.

그래서 나온 신조어가 바로 '스트림플레이션'입니다.

최근 디즈니플러스가 광고 없는 요금제를 월 4천 원 올렸고, 티빙도 다음 달 20%씩 요금을 올릴 예정입니다.

세계에서 가입자가 제일 많은 넷플릭스는 같은 집에 살지 않는 사람과 계정을 공유하면 추가 요금 5천 원을 더 부과하기로 해서 논란입니다.

처음엔 가입자 모은다고 무료 이용 기간도 많이 두고, 가족이나 친구끼리 계정을 공유하라고도 권장했던 업체들인데 지금은 앞다퉈 가격을 올리고 있는 겁니다.

OTT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고 나니까 일단 끌어모았던 시청자들을 상대로 수익화에 나섰다, 이런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사실 영화나 드라마 많이 보는 분들은 이것 중에 딱 한 개만 구독하기가 쉽지 않지 않습니까?

<기자>

아무래도 그렇죠. 보신 분들은 다 아실 텐데요.

자기가 보고 싶은 영화나 드라마가 이중에 어느 한 곳에만 있는 게 아니에요.

넷플릭스에 있거나 왓챠에만 있거나, 이런 게 아니고 결국에는 여러 개 가입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건데, 우리나라 이용자들을 보면 1인당 OTT를 2.7개 구독하고 그중에 42.5%가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 이런 조사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최근에 오르는 OTT 요금은 더 부담일 수밖에 없는 겁니다.

그리고 이런 스트림플레이션은 다른 디지털 서비스 요금 인상으로도 번질 우려가 있습니다.

당장 통신사들을 보면요, 스마트폰과 IPTV 요금제를 OTT와 묶어서 '결합서비스'로 운영하기도 하거든요.

OTT 요금이 오르면 결국 이런 결합서비스 요금도 제자리에 있진 않을 거고요, 실제 그렇게 된 전례도 있습니다.

지난 2021년 말을 보면 넷플릭스가 프리미엄 요금을 2천500원 올렸는데, 넷플릭스와 협약을 맺었던 KT와 LG유플러스가 관련 IPTV요금을 그만큼 올린 겁니다.

요즘 정부가 우유 국장이다, 빵 사무관이다 해서 물가 관리에 나섰다는 뉴스 많이들 보셨을 텐데, 체감 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스트림플레이션에 대한 대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앵커>

이런 동영상 서비스가 구독료를 올려서 이용자들의 부담이 커지면, 결국 해지하는 경우도 많이 생길 텐데요?

<기자>

이용자들로서는 이른바 '토종 OTT'부터 해지할지 모릅니다. 인기 있는 소위 말하는 자체 제작, 오리지널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글로벌 업체들은 아무래도 제작비가 많이 드는 자체 제작 콘텐츠를 만드는 데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이고요.

자본을 앞세운 글로벌 업체들에게 국내 업체들은 경쟁이 쉽지 않겠죠.

지금도 넷플릭스나 디즈니 같은 글로벌 OTT들이 요금을 올릴 수 있는 것을 보면 자체 콘텐츠에 대한 자신감이 커서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요금을 올려도 시청자들이 계속 보지 않겠느냐는 건데, 최근의 OTT 요금 인상은 결국 국내 OTT업체들의 고사라는 결과로 돌아올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

그래서인지 어제 정부가 OTT 구독료를 '문화비 소득공제'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유인촌 장관이 밝힌 목표를 보면 "토종 OTT 기업을 살리자", 이거라고 했는데 이게 무슨 소리냐면 일각에선 이런 주장을 합니다.

이거 소득공제 해주면 넷플릭스나 디즈니 같은 외국 업체들 구독자만 더 늘리게 되는 거 아니냐, 이런 걱정을 하는 거거든요.

있을 수 있는 걱정인데, 정부 당국자 말을 들어보면 외국 업체들의 경우엔 경영정보 노출을 꺼려서 소득공제 적용 대상에서 빼달라고 할 거 같다, 이런 얘기예요.

결국 구독료 소득공제는 국내 OTT에 혜택이 갈 방안이라는 건데, 스트림플레이션으로 불만인 이용자들이 어떻게 느낄지는 두고 봐야겠습니다.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