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법' 전국 51개 지역 혜택…"선거용" 우려도

이호건 기자 2023. 11. 15. 06: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런 움직임이 가장 반가운 사람들은 노후된 아파트에 살면서도, 불편을 견뎌왔던 주민들입니다.

이렇게 90년대 초반 줄줄이 생겨난 1기 신도시들의 아파트는 30년이 넘어 주민 불편이 큽니다.

[1기 신도시 주민 : 비 오면 물 뚝뚝 떨어지지. 천장에서 물 떨어지지. 외벽에 물 타지. 난리 블루스도 아니죠.]

분당과 일산, 평촌 등 1기 신도시 5곳과 택지 조성 20년 이상 지난 서울 상계, 부산 해운대, 인천 연수 등 전국 51개 지역이 혜택을 볼 걸로 예상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움직임이 가장 반가운 사람들은 노후된 아파트에 살면서도, 불편을 견뎌왔던 주민들입니다. 특별법이 통과되면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의 50개 넘는 지역의 노후된 아파트가 재정비에 들어갈 전망입니다.

이호건 기자가 법안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기자>

분당 신도시 입주는 지난 1991년, 일산 신도시는 그다음 해인 1992년부터입니다.

이렇게 90년대 초반 줄줄이 생겨난 1기 신도시들의 아파트는 30년이 넘어 주민 불편이 큽니다.

[1기 신도시 주민 : 비 오면 물 뚝뚝 떨어지지. 천장에서 물 떨어지지. 외벽에 물 타지. 난리 블루스도 아니죠.]

노후화에도 엄격한 규제로 재건축은 사실상 막혀있습니다.

1기 신도시 평균 용적률은 188% 수준으로 법적 상한 인 300%보다 낮은데, 별도 지구단위계획 때문에 현행 수준으로 묶여 있습니다.

용적률을 못 올리면 재건축해도 분양할 수 있는 주택 수가 늘지 않아 조합원들이 1인당 많게는 10억 넘는 분담금을 떠안아야 합니다.

지난 3월 여당이 발의한 특별법에 민주당도 가세하면서 연내 통과가 유력해진 상황.

20년 이상 지난 100만 제곱미터 이상 택지에 대해서는 용적률을 500%까지 올려주고, 안전진단은 특례 면제, 리모델링 규제도 완화하는 내용입니다.

분당과 일산, 평촌 등 1기 신도시 5곳과 택지 조성 20년 이상 지난 서울 상계, 부산 해운대, 인천 연수 등 전국 51개 지역이 혜택을 볼 걸로 예상됩니다.

해당 지역은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

[일산 신도시 A 공인중개사 : 연내에 된다면 훨씬 나아지겠죠. 거래량이. 사실 지금 거래량이 거의 없잖아요.]

다만 대규모 신도시 규제 완화가 촉발할 수 있는 부동산 시장 불안, 그리고 용적률 상향으로 늘어나는 세대수를 수용할 도시기반시설 확충에 대한 신중한 고민이 없다는 점에서, 부동산 정책이 반복해 선거용으로 급조되는 데 대한 우려도 제기됩니다.

(영상편집 : 이소영, 디자인 : 이종정·최재영, VJ : 박현우)

이호건 기자 hogeni@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