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떼돈줘도 중국엔 안팝니다”…해외직구 차단하는 업체들 무슨 일?

박홍주 기자(hongju@mk.co.kr) 2023. 11. 15. 00: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직구 성수기, 분주한 인천 특송물류센터 [사진 = 연합뉴스]
중국산 직구를 타고 가품 유입이 급증하면서 국내 유통업체들은 ‘짝퉁과의 전쟁’을 펼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국산 브랜드의 해외직구를 원천 차단하는 기술까지 적용하고 나섰다. 유통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짝퉁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정부가 경고신호를 강하게 보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14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롯데의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인 롯데온은 최근 한국산 패션 브랜드의 해외직구를 원천적으로 막는 정책을 수립해 시행에 나섰다. 국산 브랜드를 모방해 만든 가품이 중국 등지에서 한국으로 역유입돼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나온 대응이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만들어진 A브랜드가 있다면, 해외직구 채널에서는 A브랜드 이름으로 상품 등록조차 못하게 막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가격과 소비자 리뷰 등을 종합해 가품 여부를 밝혀내고 이후에 판매를 막는 사후대책이었다면, 이제는 가품 판매가 의심되는 상황 자체를 선제적으로 막겠다는 것이다.

롯데온은 올해 초부터 자사 해외직구몰에서 가품이 유통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24시간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이 방식을 일종의 ‘네거티브 방식’으로 확장해 한국 브랜드의 상호를 단 상품의 경우에는 롯데온의 승인을 거쳐야만 해외직구 판매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해외에서 출시된 진품의 정당한 해외직구가 막힐 위험에 대해서는 롯데측은 “경우에 따라 판매자에 대한 검증을 거쳐 상품 등록을 허용하는 등 예외를 적용할 예정”이라면서도 “가품 유통을 막기 위해 일부 손실을 감수하고 내린 조치”라고 설명했다.

11번가는 위조품 적발 전담팀을 두고, 상표권자 및 특허청 등 정부기관과 협업하는 수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위조품이 의심되는 경우 11번가가 직접 구매한 후 상표권자를 통해 위조 여부를 감정받는 ‘미스터리 쇼핑’도 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G마켓 역시 2017년부터 위조전담센터를 운영하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조품 필터링’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 시장의 ‘짝퉁 화장품’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대표적인 업체인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소재 위조품 제조공장이나 창고를 찾아내 형사단속을 일찍부터 펼쳐왔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소규모 거래되는 가품을 적발하기 위해 AI솔루션을 도입해 민사소송 등 법적조치도 진행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설화수·라네즈·이니스프리 등 브랜드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중국 정부에서 치명상표 인정을 받아 지적재산권 침해를 줄이는 성과를 이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치명상표는 중국 정부가 브랜드의 인지도, 매출액,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 공신력이 높아 지식재산권 보호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국민들에게 가품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유통 실태에 대해 적절한 경고신호를 울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가품 신고센터를 운영하면서 신고 데이터를 쌓아야 중국 당국과 소통할 때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가품 신고가 누적된 업체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상황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정숙 전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짝퉁은 소비자들의 수요도 어느 정도 뒷받침돼 발생하는 거라 원천적인 해결은 어렵다”면서도 “공정거래위원회나 한국소비자원 등이 가품 유통이 많아질 때 일종의 경보신호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