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재고자산 55조원…반도체 재고 33조원대

김아람 2023. 11. 14.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 위축이 장기화하면서 올해 3분기에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재고자산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14일 각 사가 공시한 분기보고서를 보면 올해 9월 말 기준 삼성전자 재고자산은 55조2천560억원으로 작년 말의 52조1천878억원보다 3조681억원(5.9%) 증가했다.

반면 SK하이닉스 재고자산은 작년 말 15조6천647억원에서 올해 9월 말 14조9천479억원으로 7천168억원(4.6%)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S 재고 작년 말보다 16.1% 증가…SK하이닉스는 재고 4.6% 감소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 위축이 장기화하면서 올해 3분기에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재고자산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14일 각 사가 공시한 분기보고서를 보면 올해 9월 말 기준 삼성전자 재고자산은 55조2천560억원으로 작년 말의 52조1천878억원보다 3조681억원(5.9%) 증가했다.

재고자산은 올해 상반기 말의 55조5천78억원과는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재고가 지난해 말 29조576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33조7천307억원으로 4조6천731억원(16.1%) 늘었다.

DS 부문 재고자산은 2021년 말의 16조4천551억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불어난 수준을 이어갔다.

반면 SK하이닉스 재고자산은 작년 말 15조6천647억원에서 올해 9월 말 14조9천479억원으로 7천168억원(4.6%) 감소했다.

다만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 역시 2021년 말의 5조4천954억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으로 늘어난 수준이다.

삼성전자 DS 부문과 SK하이닉스의 3분기 재고를 합치면 48조6천786억원이다. 작년 말 44조7천223억원 대비 올해 들어 3조9천563억원(8.8%) 증가했다.

전체 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삼성전자가 작년 말 11.6%에서 올해 3분기 말 12.2%로 늘었고, SK하이닉스는 15.1%에서 14.6%로 줄었다.

같은 기간 재고자산 회전율은 삼성전자가 4.1회에서 3.3회, SK하이닉스가 2.4회에서 2.1회로 각각 낮아졌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매출원가를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보유한 재고자산을 판매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매출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으로 삼성전자의 연구개발(R&D) 비용은 20조7천99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10.9%로 작년 연간 8.2% 대비 상승했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연구개발 비용은 3조1천356억원이었다. SK하이닉스도 매출액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년 연간 11.0%에서 14.6%로 뛰었다.

삼성전자의 시설투자 금액은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총 36조6천997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91%인 33조4천408억원을 반도체 사업부인 DS 부문의 신·증설과 보완에 투입했다.

SK하이닉스가 같은 기간 생산능력 증가 등에 투입한 투자 금액은 4조1천98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삼성전자의 상반기 부문별 매출 비중은 TV 등 DX 부문 68.2%, D램 및 낸드 플래시 등 DS 부문 23.5%, SDC(디스플레이) 부문 11.2%, 하만 5.5%, 기타(부문 간 내부거래 제거 등) -8.4% 등이다.

주요 매출처로는 애플, 베스트바이, 도이치텔레콤, 퀄컴, 버라이즌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15% 수준이다.

ric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