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가니 빈대믹 …"집에오면 옷부터 뒤져봐요"

권오균 기자(592kwon@mk.co.kr), 지홍구 기자(gigu@mk.co.kr),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3. 11. 14. 17: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달만에 54건 발생 확인
가정집·고시원이 75%
기숙사도 의심신고 속출
실시간 정보 '빈대맵' 등장
빈대 발견땐 보건소에 신고
정부·지자체 빈대방제 총력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빈대 확산 방지' 방제 현장을 점검하기 위해 14일 서울 코레일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구로차량사업소를 찾아 객차 좌석에 소독액을 뿌리고 있다. 한주형 기자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노길수 씨(50·가명)는 지하철 의자가 헝겊으로 돼 있으면 앉지 않는다. 퇴근하자마자 하는 일은 외투를 의류관리기에 넣고 돌리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 거실에 방치하다시피 했던 의류관리기다. 찜질방은 고사하고 대중목욕탕도 가지 않는다. 다 빈대가 창궐한 이후 생겨난 변화다.

대학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한 달에 한 번꼴로 귀가하는 장 모씨(26·서울 강서구 가양동)는 지난 11일 여행용 가방에 세탁을 마친 옷을 가득 넣어 집으로 가져갔다. 장씨는 "기숙사 세탁기로 빨래를 하고 말리기까지 했지만 혹시 빈대가 있을지 몰라 고온 살균을 하기 위해 집에 가져왔다"고 말했다.

지난 8일 경기 지역 모 대학 온라인 커뮤니티에 벌레 사진과 함께 빈대인지 묻는 게시글이 올라오자 댓글 창에는 "빈대처럼 보인다" "딱정벌레 종류 같다" 등 엇갈린 의견이 줄줄이 이어졌다. 기숙사 입소생들의 불안감이 특히 크다. 실제로 지난달 19일 대구의 한 사립대 기숙사에서는 학생이 빈대에 물렸다는 신고가 접수돼 대학 측이 긴급 소독에 나서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 대학에서는 기숙사 등을 중심으로 해충 소독 작업을 벌이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기대 관계자는 "최근 자교 체육선수들이 사용하는 숙소를 대상으로 주말마다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며 "재학생이 이용하는 생활관 등도 순차적으로 빈대·진드기 유무를 확인하는 일제 점검을 하고 있고, 점검 결과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로 해충 방지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간에서 만든 빈대 안내 맵도 등장했다.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한 네티즌이 나서 빈대보드 사이트 운영을 시작했다. 사이트는 질병관리청이 배포한 빈대 정보, 빈대 관련 뉴스, 시민 신고 등을 모아 지도에 표기한다. 시민들의 제보와 함께 빈대 사진도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개발회사인 코드포체인도 빈대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빈대맵 웹사이트를 열었다. 이 사이트 역시 뉴스 기사와 시민 제보를 모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빈대 발생 신고가 잇따르자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도 바짝 긴장했다. 정부는 지난 3일 빈대 정부합동대책본부를 출범하고, 이날부터 12월 8일까지 4주간을 '빈대 집중 점검 및 방제 기간'으로 정했다. 숙박·목욕업소, 사회복지시설, 기숙사와 교정시설 등 취약시설의 빈대 발생 상황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자체는 각 취약시설에 빈대 방제 자율 점검을 독려하는 한편 빈대 발견 시 콜센터(120) 또는 시군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빈대 출몰 정보를 지도에 표시해주는 '빈대맵'. 빈대맵 홈페이지 캡처

국무조정실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9월 8일 처음 들어온 빈대 의심 신고 이후 이달 12일까지 총 187건이 접수됐으며 이 중 실제 발생이 54건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서울(39건), 경기(5건), 대구·충남(3건), 인천·대전(2건) 순이다.

발생 시설은 가정집과 고시원이 많았다. 6~12일 발생한 41건 중 가정집은 19건, 고시원은 15건으로 둘을 합해 전체의 75% 이상이었다.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겸임교수는 "가정집과 고시원에서 빈대 출몰이 많은 건 외국 여행을 다녀오거나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온 지 얼마 안 된 근로자, 학생이 임시 거처로 삼았기 때문일 확률이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빈대가 다수 출몰한 서울시와 각 자지구는 대응에 분주하다. 양천구는 방제기동반을 편성해 고시원, 노숙인시설 등 158곳을 중심으로 이달 중 특별 위생 점검을 실시한다. 아직 구 내에서 빈대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방제에 나선 대원들에게 시민들은 "빈대가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냐"는 질문을 쏟아냈다. 행안부는 빈대 출현과 피해 사례 발생이 지속됨에 따라 빈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빈대 발생이 확인된 지역을 비롯해 전 지자체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총 22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서울시는 지난 8일부터 빈대를 발견할 경우 각 자치구 보건소,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신고할 수 있는 '빈대 발생 신고센터' 운영을 시작했다.

[권오균 기자 / 지홍구 기자 / 류영욱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